발전과 쇠퇴의 반복, 오래된 도시의 길찾기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1980년대 이후 생겨난 몇몇 신도시를 제외하면 대부분 오래된 도시다. 전라북도 도시도 예외가 아니다. 도시연구가 강동진 교수가 규정하는 기능 차원의 오래된 도시는 ‘발전과 쇠퇴를 반복해온 특정한 지역산업을 보유한 도시, 그 도시만의 두드러진 향토색을 가진 도시’다. 오래된 도시는 긴 시간을 거쳐온 만큼 풍부한 역사와 스토리를 갖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그 오랜 시간 때문에 쓰임새를 잃어버린 공간이 많다. 낡고 오래되어 불편하고, 그래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방치된 것들이 많은 도시. 인구 감소와 함께 지역 소멸의 위기에 놓인 우리나라의 오래된 도시가 안고 있는 현실이다. 도시재생은 바로 이러한 현실적 문제로부터 출발했다.
전북의 도시들은 일찍부터 도시재생을 주목했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도시재생의 물꼬를 튼 것은 2014년부터 시작한 국토부의 도시재생사업이다. 정부 주도 도시재생사업은 지방 도시의 쇠퇴를 지역이 주도해 해결할 수 있게 제도화한 일종의 기존도시 재정비 정책이다. 정부는 쇠퇴한 도시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도시의 내발적인 발전 잠재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재생특별법을 제정해 제도화했다. 그 결과 도시재생사업은 전국적으로 확장됐다.
전라북도의 도시들도 2014년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사업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전라북도도시재생지원센터에 따르면 지금까지 공모를 통해 선정된 사업은 모두 50개. 유형별로는 경제적 이익보다 주거지 개선에 우선순위를 둔 일반근린형이 14개로 가장 많고, 혁신지구 1개, 경제기반형 1개, 지역특화형 2개, 중심시가지형 10개, 주거지지원형 5개, 우리동네살리기 4개, 전북형 3개, 인정사업 10개다. 도시재생 예비사업도 2022년 말 기준, 45개가 선정되어 시・군별로 다양한 주민참여 공동체 활성화 사업이 추진되었거나, 진행 중이다.
도시재생사업이 가장 먼저 시작된 곳은 전주다. 2012년부터 시작한 동문문화예술 거리 조성사업이 그것이다. 그러나 정부 주도 도시재생사업으로는 2014년에 도시재생 선도지역 공모사업에 선정된 군산시의 중심시가지형이 시작이다.
이 사업은 사업비만 200억 원이 투자되는 5년 장기 프로젝트였다. 창조적 상생을 통한 근대역사문화 도시 구현이 목표. 원도심인 중앙·해신·월명동 일원을 중심으로 진행된 도시재생사업을 위해 군산시는 일제강점기 식민지의 아픈 역사를 가진 일본 건축물까지 근대문화자산으로 살리고 주민과 함께 특화 거리를 조성하는 등 군산이 갖고 있는 문화적 자산을 적극 활용했다. 당시 도시재생 선도지역 공모사업에 군산시를 비롯해 전국 13곳이 선정됐지만, 국토부는 그중에서도 기존 자산을 살린 군산시의 성과가 가장 두드러진다고 평가했다.
도시재생 첫 사업의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눈에 띈 결실은 관광객 증가였다. 내항이 기능을 잃으면서 주변 인구의 74%가 감소해 쇠락했던 군산 원도심의 연간 관광객은 22만 명 수준. 그러나 도시재생사업 직후인 2015년에 85만 명, 2016년에 102만 명 등 해마다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비어 있던 집과 상가도 하나둘 주인을 찾기 시작했다. 군산 원도심의 도시재생사업 성과는 지역 주민·상인·전문가의 자발적인 참여와 자치단체, 도시재생지원센터가 일궈낸 결실이었다.
도시재생특별법 제정과 함께 지역마다 만들어진 기구가 있다. 재생 사업을 실질적으로 추진해가는 일종의 중간지원조직인 도시재생지원센터다.
전라북도의 14개 시군에는 모두 도시재생지원센터(기초센터)가 있다. 가장 먼저 문을 연 곳은 군산시(2015년 4월·행정직영)다. 이후 전주시(2015년 7월·민간위탁), 정읍시(2016년 5월·행정직영), 남원시(2016년 9월·행정직영), 익산시(2017년 6월·행정직영), 김제시(2018년 5월·행정직영), 완주군(2018년 6월·민간위탁), 장수군(2019년 1월·행정직영), 임실군(2019년 2월·민간위탁), 부안군(2019년 2월·행정직영), 고창군(2019년 4월·민간위탁), 순창군(2019년 6월·행정직영), 무주군(2020년 4월·민간위탁), 진안군(2021년 10월·민간위탁)이 뒤를 이어 문을 열었다. 2019년 7월에는 전라북도도시재생지원센터가 설치됐다. 광역 단위 지원센터는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사업을 비롯한 연관사업 선정을 돕는 전문가 컨설팅이나 사업추진 및 성과관리를 지원하고 전라북도와 각 시・군, 도시재생지원센터(기초),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의 협업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구다. 지역 주민과 가장 가까이 있는 현장지원센터도 전주시, 군산시, 익산시, 정읍시, 남원시, 김제시, 완주군, 임실군, 고창군, 부안군 등에 모두 28곳이 설치돼 있다.
2014년부터 시작된 정부의 도시재생사업에 선정되어 추진되었거나 추진되고 있는 전라북도 도시들의 사업은 많다. 이미 그 쓰임새를 찾아 성과를 내고 있는 사업도 있지만, 아직 진행 중이거나 실험 단계에 있는 사업이 여럿이다. 그중에서도 옛 수협창고를 수제맥주 특화사업장으로 재탄생시킨 군산의 <째보스토리 1899>, 구도심의 비어 있던 호텔을 리모델링 하여 청년들의 창업과 취업을 지원하는 허브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는 익산의 <청년시청>, 지역의 특성을 살려 매출 증진에 성공한 정읍의 <쌍화차거리>, 유흥시설 밀집 지역이었으나 역이 이전하면서 기능을 잃은 공간을 매입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 있는 남원 <사랑나눔어울림센터>, 노후주택 정비 사업으로 활력 되찾은 고창 <모양성마을>, 오래된 여인숙의 기능을 바꾸어 마을주민들의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는 부안 <창업플랫폼> 등은 재생 과정과 성과를 주목받고 있는 사업이다. 공유공간으로 만들어졌으나 사회적협동조합을 설립해 자립과 지속가능성을 실험해가고 있는 전주의 <둥근숲>이나 공·폐가 밀집 지역 공간을 주민 공동이용시설로 바꾸어 활용하고 있는 <여의주마을>처럼 연구사례로 꼽히는 사업도 있다.
전라북도의 도시재생사업은 어디까지 왔을까. 그 현장을 찾아 성과와 과제를 진단해본다. /김은정 선임기자, 박현우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