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문학 명소] 15. 풍경으로 물들어가는 사람과 문학
△세월도 그리움으로 잠깐씩 정차했다가 떠나는 곳, 간이역 전라선 구간은 익산에서 여수까지다. 이 사이에 수십 개의 역이 놓여 있고, 역마다 어딘가로 떠나고 또 돌아오는 사람들로 북적였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면서 규모가 작은 역들이 하나둘 폐쇄되었다. 마찬가지로 간이역마다 들렀던 비둘기호와 통일호의 운행도 끝났다. 한 시절이 막을 내렸다는 뜻이다. 느림의 미학이 사라지고 속도가 철길을 지배하게 되면서, 역에서 만들어졌던 추억도 희미해졌다. 그 시절 기다림과 설렘으로 아름다웠던 대합실 풍경이 흑백사진처럼 시대의 앨범 한 페이지를 장식하고 있다. 완주의 삼례역에서는 어쩐지 상행선이 기다려진다. 갑오년 동학농민군의 발길이 향했던 것처럼, 삼례역에는 언제나 서울을 향해 눈 부릅뜬 사람의 표정이 숨어 있다. 가난했던 시절, 앳된 소년과 소녀들이 작은 보퉁이를 끼고 무작정 상경했던 곳. 까만 눈을 크게 두리번거리며 서울역에서 내려 구로공단으로 스며들었던 사람들이 이제는 손등 까만 노년이 되어 돌아올 것만 같다. 삼례역에서 뿡뿡 기적을 울리는 기차를 이렇게 묘사한 적 있다. “단 한 번도 탈선해보지 못했으므로 기차는 저렇게 서서 우는 것이다”라고. 그러니 삼례역에 가면 우리 앞에 놓인 운명으로부터 멋진 탈주를 꿈꾸어보는 것도 좋으리라. 삼례역에서 하행 기차를 타면 전주를 거쳐 이내 임실역에 닿는다. 임실역이 궁금하다면 임실 출신 정우영 시인의 시를 읽어보라. “끝내 떨치지 못할 그리움이 개똥범벅된 침목처럼 나직나직 가라앉아서 그늘 파인 가슴속 깊숙이 갇혀 있다가도, 가끔씩 산굽이를 돌아오는 기적 소리에 헛험헛험 초첨 잃은 기침을 뱉으며 허리를 곧추세우는 곳”이라고 한 시인의 말처럼, 임실역은 임실 사람들 가슴속에 들어있다. 그래서 기차가 지나가는 시간이 되면 임실 사람들은 저절로 밭은기침을 한다. 그게 임실역과 함께 살아온 임실 사람들의 그리움이다. 임실역에서 좀 더 내려가면 오수역이다. 오수역은 전라선 선로 개량공사와 더불어 새로운 곳으로 자리를 옮겼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 가슴에는 옛 오수역에 기차가 정차한다. 가을이면 역 마당에 선 아름드리 느티나무가 노랗게 하늘을 떠받들고 있던 곳. 붉은 벽돌로 지은 역사와 더불어 가을을 다투던 은행나무 그늘에서 기차를 기다리면 오래전 헤어졌던 연인이 어느새 옆에 서 있을 것만 같다. 오경옥 시인이 시 「오수역」에 쓴 것처럼, 오수역에는 “전라선 무궁화호 완행열차가 기적을 울리면/ 하늘거리며 작아지는 얼굴들이” 활짝 웃으며 개찰구를 빠져나올 것만 같다. 구 서도역은 남원역에 닿기 전에 있지만, 지금은 선로가 바뀌어 기차가 지나가지 않는다. 그래도 옛 역사와 선로가 남아 있어서 그 시절을 추억하게 만든다. 이곳은 최명희의 소설 혼불에 나오는 강모가 만주행 기차를 탔던 곳이다. 소설에서 “우리 마을 저 앞 서도역(書道驛)에 서는 기차를 보아라. 제아무리 그 형체를 거대하고 공교하게 만든다고 해도, 기계는 수(水) · 화(火)가 없으면 못 움직이는 것이다.”라고 하여 근대의 상징물인 기차에 관한 당대 사람들의 인식을 보여준다. 서도역은 2018년에 드라마 <미스터선샤인>을 촬영했던 곳이기도 하다. 구동매(유연석 분)가 아씨 고애신(김태리 분)를 기다리는 장면에서 서도역은 드라마틱하게 나타났다. △인생이 궁금하다면 우선 길 위에 서 보라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유적이 있다면 그건 단연코 길일 것이다. 움직이는 순간 길은 만들어진다. 그래서 길은 삶과 같다. 인간이 태어나 첫걸음을 떼기 시작하면서 길은 시작하고, 그가 마지막 숨을 거두게 되면 그의 길도 사라진다. 철학자들이 길과 인생을 비유하는 이유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길이 다 걷고 싶은 건 아니다. 기분에 따라, 상황에 따라, 우리는 가고 싶은 길이 있다. 그럴 때 그 길은 평탄하지 않아도 좋다. 섬진강길은 문학적 분위기가 한껏 고조된 길이다. 완만하게 굽이치며 흘러가는 맑은 섬진강을 따라 길이 놓여 있고, 그 길가에 시를 새긴 돌이 서 있다. 김용택 시인의 생가에서 천천히 길을 잡고 나서면 섬진강 강물도 보폭을 늦춘다. 그리고는 시비 앞에 이르러 마치 시 구절을 읊듯 찰방거리며 소살거리며 흐른다. “아름다운 사랑 짊어졌으리”라고 한 김용택 시인의 시 구절처럼 섬진강길은 아름다운 인생을 등에 지고 오늘도 성큼성큼 걸어간다. 어쩌면 그 길은 시인의 길이면서 시의 길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밤이 되면 섬진강길 위로 그리고 길옆 시비 위로 별이 내리는 것인지도 모른다. 별이 내리는 길은 또 있다. 남원에서 나선 길이 정령치에 다다르면, 길은 인간의 가장 높은 시선에 자리한다. 정령치에 오르면 지리산 능선이 이마 높이에서 빛난다. 마치 공중에 그어진 누군가의 눈썹처럼, 지리산 능선은 아름답다. 그래서 정령치휴게소에는 이원규 시인의 시 「행여 지리산에 오시거든」을 새긴 시비가 세워져 있다. “지리산은 변하면서도 언제나 첫 마음이니”라고 한 것처럼, 정령치에서 바라보는 지리산은 언제나 새롭다. 정령치에 오르는 길도 계절마다 첫 마음처럼 낯설다. 완주군 소양면과 동상면 경계에는 연석산이 있다. 연석산을 오르는 등산로에는 이곳 출신 배학기 시인의 시 「그리운 연석산」을 돌에 새겨 놓았다. “그리움 애써 숨기며/ 기다리던 나의 어머니”라고 한 것처럼, 연석산은 사람들에게 어머니 품처럼 넉넉하고 따뜻하다. 그래서 연석산 등산로에 서면 저절로 가슴이 부푼다. 사람에 대한 그리움으로, 그 시절에 대한 그리움으로, 그리고 자기 자신에 대한 그리움으로. 연석산이라는 이름은 이 산에 연석, 즉 벼룻돌이 많이 나서다. 그래서 등산로를 걷는 발길이 마치 커다란 벼루를 가는 먹의 움직임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사람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당장 가까운 마을로 가자 길은 길목마다 낮게 엎드린 사람의 마을을 품는다. 마을에는 사람이 있고, 사람은 사람을 그리워한다. 그래서 길을 걷다가 사람이 그리워지면 발길은 저절로 마을에 닿는다. 마을에는 이야기가 있고, 이야기마다 사람살이의 비밀이 담겨 있다. 문학은 그런 비밀을 하나씩 세상을 향해 꺼내놓는다. 그러므로 문학은 사람의 마을에서 태어나고, 사람의 비밀을 품는다. 문학의 향기가 물씬 묻어나는 마을 가운데 하나가 절골마을이다. 임실군 덕치면 회문리 절골(寺洞)은 대한제국 말의 학자이며 순국지사인 조희제(1873∼1939)의 삶터였다. 그는 이곳에서 염재야록을 집필했다. 염재야록은 1895년부터 1919년까지 절의(節義)를 세운 의열선비와 의병들의 실적과 문헌을 수집해 편찬한 책이다. “나라가 망한 날에 이르러 절개와 의리를 지킨 행적이 가장 왕성하게 펼쳐진 지역으로는 호남을 으뜸으로 칭하며”라고 하여 호남 선비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마음을 바로 세우고 단정한 삶이 그리워진다면 절골마을을 추천한다. 남원에는 두 개의 흥부마을이 있다. 아영면 성리 상성마을은 제비다리를 고쳐준 흥부가 복을 받았다는 곳이고, 인월면 성산리 성산마을은 「흥부전」의 시작과 끝에 등장하는 마을이다. 성산마을에 살던 흥부가 놀부에게 쫓겨나 상성마을로 간 것이다. 한국인이라면 흥부와 놀부 이야기는 다들 알고 있다. 극작가 최기우는 “형님, 형수님, 우리 저 박 두 개를 마을 정자나무에 매달아 놓읍시다. 착하게 살믄 복을 받고, 흉허게 살믄 벌을 받는 것을 사람들이 모두 알게 합시다.”라고 희곡 「시르렁 실겅 당기여라 톱질이야」에 썼다. 그런 점에서 흥부마을은 착한 일을 하면 복을 받는다는 세상의 이치가 완성된 곳이다. 완주군 이서면 앵곡마을은 고전소설 콩쥐팥쥐전의 배경 마을로 알려져 있다. 고전소설이 핵심 주제로 다루는 권선징악 이야기로 서양의 신데렐라 이야기와 구조가 유사하다. 계모와 팥쥐에게 구박을 받던 콩쥐는 원님의 생일잔치에 못 가고 힘들게 일만 한다. 여기까지가 동화 형식으로 알려진 내용이다. 뒷이야기는 참혹하고 잔인해서 이야기되지 않는다. 우여곡절 끝에 콩쥐는 원님과 혼인하지만, 이를 질투한 팥쥐가 콩쥐를 연못에 빠뜨려 죽인다. 그렇다면 이야기는 어떻게 마무리될까? 궁금하다면 앵곡마을에 가서 한 번 알아봐도 좋겠다. 완주군 동상면 밤티마을은 우리나라 8대 오지 가운데 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밤나무가 많아 율치로 불리며, 만경강이 발원하는 밤샘이 있는 곳이다. 동화작가 유수경은 밤티마을을 공간 배경으로 하늘 아래 첫 동네 밤티를 썼다. 인간과 자연이 경계 없이 서로 소통하는 이야기다. 주인공 채연이와 길고양이 새벽이는 비 오는 어느 아침, 밭일을 가신 부모님을 찾아 산밭에 갔다가 두더지를 만난다. 두더지 동굴에 굴러떨어진 채연이와 새벽이는 꿈인지 현실인지 구분이 안 되는 공간에서 모험을 시작한다. 과연 이들 앞에 얼마나 신나는 모험이 펼쳐져 있을지 궁금하지 않은가? 임실군 진뫼 마을은 시인의 마을이다. 섬진강이 돌아나가는 이곳은 자연 자체가 한 편의 시처럼 아름답다. 그래서 이곳에 사는 사람들 모두가 시인이다. 이곳에 김용택 시인의 생가가 있고, 김용택 시인의 시가 있으며, 김용택 시인이 있다. 그뿐인가? 김도수 시인이 있고, 김도수 시인의 시가 있고, 김도수 시인의 집이 있다. 그야말로 마을 전체가 시이면서 시집인 곳이다. 그래서 진뫼 마을에서 한나절 뒹굴다가 나오면 시집 한 권을 통째로 다 읽은 기분이 든다. 봄꽃 피는 날에도, 가을 햇살 내리는 날에도, 한겨울 함박눈이 펑펑 쏟아지는 날에도, 여름날 섬진강이 서늘하게 흘러가는 날에도, 진뫼 마을은 이 땅에 새겨진 가장 아름다운 시처럼 그곳에 그대로 있다. 그 풍경들을 이제 더 사랑하기로 하자. /문신(문학평론가, 우석대 문창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