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1-29 00:50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오목대
일반기사

[오목대] 腦死와 臟器이식

의료기록상 가장 긴 혼수상태에 빠진 사람은 미국의 엘라인 스포지토라는 사람이다. 그는 여섯살 때 수술을 받은 후 혼수상태에 빠져 식물인간이 됐다가 43세에 사망했다. 그의 혼수상태 기록은 무려 37년 1백11일로 기네스북에 올라있다. 그러나 식물인간도 뇌간(腦幹)이 살아 있어 반사기능이 있고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인공호흡기를 제거해도 숨을 쉰다고 한다. 회생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다. 실제로 엊그제 미국에서 한 40대 여인이 출산후 혼수상태에 빠졌다가 20여년만엔가 의식을 회복했다 하여 화제가 된 일이 있다.

 

그러나 숨만 쉴뿐 인간으로서 아무런 감성(感性)이 없는 그런 환자에게 생명 연장이 과연 무슨 의미를 주는 것 일까 하는 회의론이 없지 않다. 회생 불가능한 환자가 편안하게 숨을 거둘 수 있도록 의사가 도와줘야 한다는 안락사 주장도 그래서 설득력이 없지 않은 것이다. 유명한 미국의 케보키안이란 의사는 ‘죽음의 의사’ 또는 ‘신(神)의 대행자’라는 닉네임이 붙을 정도로 안락사를 주장해온 바람에 의사 면허증까지 박탈 당했지만 지금도 희망자가 있으면 시술하겠다는 고집을 꺾지 않고 있을 정도이다.

 

혼수상태와 안락사 문제를 새삼 떠올리는 것은 국무회의가 지난 1일 뇌사(腦死)를 인정하는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의결했기 때문이다. 이 법은 이미 지난 97년 제정됐지만 그동안 의료계와 종교계의 찬반양론이 팽팽히 맞서 시행이 유보돼 왔었다. 혼수상태에 빠진 환자에 대한 뇌사판정은 고도의 의료상식과 윤리적 기준이 충족돼야 하기 때문에 쉽게 판단을 내리기 어려운게 사실이다. 이번 시행령에서도 뇌간기능이 남아 있어 인공호흡으로 생명을 연장할 수 있는 식물인간은 당연히 뇌사판정에서 제외시킨 것만 봐도 이해가 갈 수 있을 것이다.

 

어쨌든 이 법 시행으로 우리나라도 본격적인 장기(臟器) 이식시대가 열려 꺼져가는 생명을 되살릴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된 것은 다행한 일이다. 다만 아직도 뇌사를 인정하지 않는 종교계를 설득하는 일과 가장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장기이식 체계의 확립은 앞으로의 과제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일보 [email protected]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