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인구의 도외 유출이 심각한 문제로 거론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난 달 25일 통계청이‘2000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 결과’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해 11월 1일 현재 도내 인구는 190만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다른 통계 자료에 따르면 하루 평균 41명이 전북을 떠난다는 것이다.
게다가 집계가 완료된 시점이 지난 해였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현재 도내 인구 사정은 불을 보듯 훤하다. 이처럼 전북의 일꾼들이 고향을 등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불균형적인 지역발전 정책과 산업화 과정의 소외가 가장 큰 원인이다. 금융, 경제, 산업, 행정 교육 등 모든 면에서 전북은 소외되어 왔다. 결국 지방은 수도권 도시들의 지점(支店) 노릇밖에 할 수 없는 들러리에 불과하게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이렇게 지역을 등지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2∼30대 계층의 젊은 일꾼들이라는 것이다. 일찌감치 산업화에서 소외된 전북은 이미 일자리 창출에서 포화상태에 이르렀고 결국 젊은 일꾼들은 고향을 등지고 일자리를 찾아 떠나게 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유수 기업들의 도내 유치가 필연적이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기업을 유치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이 되는 금융권이 취약하기 때문이다.
모든 은행의 본점은 서울과 수도권에 위치해 있고 그로 인해 대형 기업의 지방진출이 가로막혀 있다. 오히려 전북에 모체를 두고 있는 기업들마저 줄줄이 쓰러져 나가는 현실에서 타 기업을 유치한다는 것은 그야말로 어불성설(語不成說)이다.
어디 그뿐인가? 젊고 우수한 인재를 도내에 정착하게 할 수 있는 교육여건도 제공되지 않고 있다. 수도권 중심에 편중된 정부의 지원, 그로 인한 대학의 서열 고정화는 우수 인재의 유출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 젊은 인구의 유출은 잠재적 인구 생산능력마저 저하시키는 문제로 인구감소 현상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심각한 문제다.
이런 상황에서도 정부 차원의 시책은 한심하기만 하다. 여전히 수도권 중심의 국가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지방의 인구 감소에 대한 대책은 뒷전이다.
이런 상황에서 도내 단체들이라도 발을 벗고 나서야 할 상황이지만 그것만으로는 역부족이다. 정부 차원의 시책이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에서의 인구늘리기 정책은 공허한 메아리에 불과한 것이다.
결국 도내 인구 200만 붕괴라는 참담한 현실 앞에 민간단체들을 주축으로 한‘전북 인구늘리기’캠페인이 진행되고 있다. 이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한 세부적인 계획도 이미 추진 단계에 있다고 한다.
그러나 가장 시급한 문제는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구축된 불균형적인 체제의 개편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민간단체 차원의 정책으로는 사실상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 전북도와 시군이 인구를 늘리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지만 그다지 큰 성과를 올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 이를 입증해 주고 있다.
이 같은 사실들을 놓고 생각해볼 때 지역의 인구증가는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정부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부가 직접 나서 산업, 금융 등의 지방분산 정책을 실행하지 않는다면 머지 않아 전북은 인구 100만에도 미치지 못하는 참담한 현실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 장명수 (우석대학교 총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