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 방문 관광객 600만 명을 넘겼다는 전주한옥마을은 짧은 시간에 비약적인 성공을 거둔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다. 전주한옥마을의 성공으로 많은 자치단체에서 한옥마을을 조성하게 되었고 전주한옥마을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이제는 몰려드는 관광객을 한옥마을에서 어떻게 수용할지의 고민에서 나아가 어떻게 하면 몰려드는 관광객을 전주시 전역으로 분산시킬 수 있을지를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때가 되었다.
사실 10여년 전만해도 한옥마을은 전주시에서 그리 두드러진 모습은 아니었다고 기억된다. 한옥마을의 비약적인 성공은 한옥마을 자체적으로 두드러진 문화콘텐츠가 많았다기 보다는 전략적으로 전주지역에 풍부하게 퍼져있는 전통문화를 한옥마을이라는 지역에 옮겨 담아 만들어졌다는 설명이 맞는 표현일 것이다.
이제 관광객의 분산을 위해서는 전주시 전반에 퍼져있는 전통문화콘텐츠의 지역적인 발전을 통해 상호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특히 전주천을 중심으로 도심이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여러 가지 현대적인 업무시설과 상업시설이 신도심으로 옮겨가게 되고 기존의 구도심은 새로운 모습으로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한옥마을과 함께 구도심을 중심으로 퍼져있는 문화기반의 지역들인 서학동예술마을, 동문예술거리, 자만벽화마을 등과 놀이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전주동물원, 소리문화전당, 덕진공원, 고사동영화의거리 등등의 지역을 전통생활문화라는 콘텐츠로 덧입혀 한옥마을과 연계된 관광지로 유도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한옥마을의 경계를 없애고 전주천 서쪽의 구도심전체로 한옥마을의 연장선인 전통생활문화지역으로의 지정하여 신도심지역과 함께 차별화되고 균형잡힌 발전을 위한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방안도 검토돼야 하겠다.
전주한옥마을은 다른 지역의 한옥마을에 비해 넘치는 흥의 에너지를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는 그 흥의 기운의 대부분이 먹거리에 집중되어 있으나 이것을 전통문화놀이로 유입해 전통문화체험을 통한 흥의 에너지를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더 제공되어야 한다. 과연 찾아오는 관광객의 몇 %가 전통의 소리를 듣고 전통의 놀이를 경험하고 가는지 정확한 통계는 알 수 없지만 극히 적은 수에 불과할 것이다. 전주한옥마을을 찾는 관람객은 적어도 1~2가지의 문화체험을 경험할 수 있어야 한다.
사실 길거리 음식으로 식사를 때우고 타지역에서 숙박을 해결하는 많은 수의 관광객보다는 고급스러운 문화체험을 하고자 하는 적은 수의 관광객이 우리에게는 더욱 소중한 고객이다. 서울에서 많은 손님이 내려오지만 일정이 맞지 않아 제대로 된 마당놀이 한 번 보고 가기가 쉽지 않다. 태국에 가면 코끼리쇼를 보고 프랑스에 가면 캉캉쇼를 볼 수 있듯이 전주에서는 전통의 소리와 마당놀이를 관람할 수 있는 소극장 형태의 상설공연장이 많이 있어야 한다. 물론 시설과 함께 상설공연팀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수익성이 있는 공연을 기획하는 것도 어려운 과제다.
전주한옥마을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더욱 적극적인 관리와 통제도 필요하다. 한옥마을의 자랑거리인 골목체험에서도 골목골목 상업적인 간판이 빼곡하게 채워지고 있고, 조그마한 공간만 허락되도 좌판이 벌려진다. 아쉬운 것은 정체성 없는 먹거리들이 대부분이다. 물론 관광지에 먹거리가 빠질 수는 없지만 특정 지역으로의 전략적인 배정이 필요하다. 태조로가 대표적인 먹거리의 거리로 전락한 것은 아쉽지만, 태조로의 먹거리를 규제할 수 없다면 더 이상의 확산을 막고 제2의 먹거리 지역을 한옥마을 내에 또는 인근에 따로 지정하는 것도 방안이 될 것이다.
전주한옥마을의 현재와 같은 급속한 확장은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어떤 방법으로든 조정돼야 한다.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많은 관광객이 몰려 좋지 않은 기억을 갖지 않도록 적절한 관광객 수의 인위적인 조정은 필요하다. 앞서 확인했지만 모여드는 관광객을 위해 수많은 숙박시설과 주차시설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전주시 전반에 걸친 관광인프라의 구축으로 관광객을 분산시키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기 때문이다.
전주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