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5 12:25 (목)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주말 chevron_right 건강 100세 시대
일반기사

[건강 100세 시대] 고혈압

뇌경색·동맥경화 등 심혈관질환 유발 / 짠 음식 많이 먹고 비만일수록 고위험

고혈압 가족력이 있는 한모씨(45·전주 덕진구)는 40대 들어 처음 받는 정기 건강검진 때 고혈압을 진단받았다. 그러나 ‘생활 습관을 바꾸면 괜찮겠지’하는 생각에 몇 년간 병원에 가지 않았다. 그러던 중 최근 혈압이 160/110㎜Hg까지 치솟았다. 한씨는 그제야 병원을 찾았고 “고혈압 때문에 이미 동맥경화가 시작됐다”는 의사의 말에 큰 충격을 받았다. 이처럼 고혈압은 소리 없이 찾아오는 무서운 질병이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전북지부 가정의학과 김형전 과장의 도움말로 고혈압에 대해 알아본다.

 

△40대부터 고혈압 관리해야

 

최근 의료계에서 “노년이 팔팔하려면 마흔을 넘길 때 무조건 혈압부터 잡아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뇌경색, 동맥경화, 부정맥, 협심증 등 심혈관질환을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이 고혈압이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40세 이상 고혈압 유병률은 2007년 25.4%에서 지난해 38.2%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40대 이상 성인 10명 중 4명은 고혈압을 앓고 있는 것이다. 대한고혈압학회에 따르면 고혈압 치료를 통해 수축기 혈압을 5㎜Hg만 낮춰도 사망률이 7% 낮아진다. 또 수축기 혈압을 10㎜Hg 낮추면 뇌졸중에 의한 사망을 40% 줄일 수 있다. 고혈압을 잘 조절하면 가장 무서운 노년병으로 알려진 치매도 예방할 수 있다.

 

△수축기 혈압 140mmHg 넘으면 당장 살부터 빼야

 

고혈압 발병률은 40세부터 급증한다. 50세 이전에는 상대적으로 남성 발병률이 높고 폐경 후에는 여성이 높다. 특히 염분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압이 올라간다. 짠 음식을 많이 먹으면 혈중 나트륨 수치가 올라가고 이 경우 고혈압 만성 질환자가 될 가능성이 크다. 또 신체 활동이 떨어질수록 체중 증가를 유발해 고혈압 발생 가능성을 더 높인다. 비만일수록 혈압이 상승하는데, 고혈압 환자의 50% 이상이 비만을 동반한다고 보면 된다.

 

△고혈압약 복용, 언제 시작하나

 

혈압이 높다고 반드시 약부터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정상보다 다소 높은 고혈압 전 단계이면서 위험인자인 흡연, 음주, 가족력 중 한 두 가지에 해당하는 ‘중등도 위험군’이거나, 고혈압 1단계이면서 다른 위험인자나 동반 질환이 없는 사람은 다른 방법을 쓰는게 좋은데, 6개월간 금연이나 절주, 저염식을 하면서 주 5회 30분씩 유산소운동을 통해서 살을 빼는 게 좋다. 고혈압 1단계 이상이면서 당뇨병, 동맥경화증, 단백뇨 중 하나라도 있거나, 위험인자를 세 가지 이상 가졌으면 바로 의사 처방을 받아 고혈압 약을 복용해야 한다.

 

△약 부작용 있다고 병원 바꾸면 안 돼

 

고혈압 약을 평생 먹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치료를 미루는 사람이 많다. 고혈압약은 내성이 생기지 않으므로 평생 먹어도 양을 늘릴 필요가 없고 금단 증상도 없다. 물론 어떤 약이든 부작용 가능성이 있다. 일단 약을 써보고 부작용이 생기면 다른 약으로 대체한다. 고혈압약 가운데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ARB) 계열은 마른기침, 칼슘채널차단제(CCB) 계열은 다리 부종, 이뇨제는 무기력감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고혈압 치료를 시작하고 3~4개월 동안은 약의 효과와 부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매달 한 번씩 진찰받는 게 좋다. 그 이후에는 최소 3개월에 한 번, 약 처방을 받으면서 주치의와 상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작용은 의사가 치료를 제대로 못해서가 아니라 해당 약이 환자에게 맞지 않기 때문에 생긴다. 따라서 부작용이 생겼다고 병원을 바꾸지 말고 자신의 부작용을 이미 아는 주치의와 상의해 약을 바꿔야 한다.

 

● 건강관리협회 김형전 과장이 말하는 고혈압 예방법 "식습관 조절 중요, 과음 반복 땐 위험"

한국건강관리협회 전북지부 가정의학과 김형전 과장은 “고혈압은 특별한 외부원인이 없어도 나이와 같은 자연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평소에 올바른 생활습관으로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며 “고혈압을 예방하는 첫 번째 방법은 식습관을 조절하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사람은 하루 평균 13g 정도의 소금을 먹는데, 이를 6g 이하로 줄이면 2~8mmHg의 혈압을 내릴 수 있다는 게 김 과장의 설명이다.

 

그는 “나트륨 섭취를 줄일 수 없다면 칼륨이 많이 들어간 음식을 먹는 것이 좋으며, 칼륨은 시금치, 다시마, 감자 등에 많이 들어있다”면서 “음주는 일시적인 혈압 상승을 유도하며, 반복해서 과음할 경우 장기적으로 고혈압의 위험을 높인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평소에 적당한 운동을 통해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며 특히 걷기, 뛰기, 줄넘기 등의 유산소 운동이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면서 “매일 20~30분간 유산소 운동을 하면 혈압을 낮출 수 있지만, 운동을 중단할 경우 다시 혈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꾸준히 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