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거석 더불어교육혁신포럼 이사장·전 전북대 총장
다큐멘터리 작가인 크리스 조던이 제작한 영화 ‘알바트로스’는 충격적이었다. 비행이 가능한 조류 중에 가장 큰 알바트로스는 60년 정도 살면서 단 하나의 이성과 짝짓기를 한다. 자식 사랑 또한 지극하다. 영화는 먹이로 알고 먹인 플라스틱이 새끼의 몸에 쌓여 고통스러운 죽음을 맞게 된다는 내용이다.
인간의 무분별한 소비가 생태계에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쓰레기도 문제지만 화석 연료의 남용으로 대기 환경도 급격히 파괴되고 있다. 이미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400ppm을 돌파했다고 한다. 이런 위기 속에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탄소중립이란 온실가스 순배출량이 ‘0’이 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상의 실천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교육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하지만 생태환경교육이 갈수록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학교에서는 환경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환경교육이 독립된 교과목으로 되어 있지 않고, 대부분의 학교에 환경 교사가 없다는 점은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환경교육은 지극히 단편적이어서 교과과정 속에 녹아들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 초청 특강이나 동영상 시청 등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게 해서는 효율적인 생태환경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생태환경교육의 목적은 생태계와 인간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한 지식과 체험을 토대로 환경문제를 이해하고, 환경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과 태도를 기르는데 있다.
따라서 생태환경교육은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한다.
먼저, 거시적인 생태 환경에 대한 인식 개선은 물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생태환경 감수성을 길러야 한다.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등 당장 눈앞의 실천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지구가 우리 세대만이 누리고 살 공간이 아님을 인식시키는 것이다.
둘째, 무작정 생산만이 아닌, 리사이클링(Recycling)이나 업사이클링(Upcycling)에 대한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이를 통해 생태나 기후환경의 변화가 한 국가나 대륙을 넘어 지구라는 공간, 그리고 현재만이 아닌 미래의 시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게 해야 한다.
셋째, 생태환경교육, 특히 체험중심 생태환경교육의 계획, 실천, 평가의 전 과정에서 학교와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상호보완적인 기능을 해야 한다. 생태환경교육은 대부분의 교과목과는 달리, 학교나 지역사회가 서로 협업할 때 시너지 효과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끝으로 학생들에게 생태 에너지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시켜 그 분야를 발전시킬 인재로 길러야 한다. 탈원전과 화석에너지를 줄이는 방법은 결국 친환경 에너지를 개발하는 것이다. 앞으로 이 분야는 엄청난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이다. 위기도 극복하고 경제적 부도 누릴 수 있는 블루오션인 것이다.
최근 늦은 감은 있으나 각 시도교육청이 생태환경교육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는 다가올 기후 위기문제를 교육적인 측면에서 해결하려는 시도여서 다행이라 생각한다.
울산시교육청은 내년에 ‘기후위기대응교육센터’를 건립하기로 했고, 광주교육청은 작년에 기후환경협력팀을 신설했다. 또한 전북도교육청도 올해 지역 및 시민사회와 함께 환경생태교육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고 한다.
유발 하라리는 저서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에서 핵전쟁보다 더 위험한 것이 기후위기라고 경고하고 있다. 우리 모두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생태환경교육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서거석 더불어교육혁신포럼 이사장·전 전북대 총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