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완주통합, 한국을 대표하는 새로운 도시결합모형으로 만들어야
전주·완주 통합 이슈로 다시 뜨거워진 전북자치도. 대구·경북 통합논의가 급물살을 타면서 충청권의 메가시티 논의도 정책적 궤도에 올랐다. 전북은 메가시티 소재가 충분하지 않은 편이다. 그렇기에 전주-완주 통합논의에 다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주는 수도작 농경문화가 시작된 이래 구한말까지 한반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메가시티였다. 당시 국가산업의 중심은 농업이었고, 전주는 농업의 중심지로서 조선의 경제수도였다. 전라도 인구는 조선 전체인구 4분의 1에 이르렀고, 전주는 한강 이남의 도시 중 가구 수가 가장 많았다. 완주지역은 경제와 행정중심지인 전라감영을 둘러싸고 발달한 근교산업지대였다. 그래서 지금도 봉동 생강, 경천 대추, 동상 곶감, 소양 한지, 이서 배 등 읍·면 단위의 특산물을 가지고 있는 대한민국 유일 지역으로 꼽힌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전주·완주의 통합은 130년 전의 ‘메가시티 복원’이라고 볼 수 있다. 규모를 늘려 새로운 도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역사에서 근거를 찾고, 그 가치를 회복하는 일이다. 그렇기에 ‘인구를 늘려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한다’는 정도의 통합목표는 너무 단순하다. 전주·완주 통합논의도 쟁점을 달리해야 한다. 2013년에 추진했던 전주·완주통합 시도의 실패사례가 교훈이다. 전주시청과 농수산물도매센터의 완주 이전과 같은 사탕발림은 오히려 완주주민의 자존심에 상처를 줄 뿐이었다. 완주는 다르다. 그때도 지금도 전국적인 도시브랜드가치를 지닌 지역이다. 지역경쟁력을 측정하여 순위를 매기는 '지방자치단체 생산성 대상'에서 매해 수상하는 모범지역이다. 따라서 무엇 하나 떼어주는 식의 자원 배분으로는 답을 찾을 수 없다. ‘전주메가시티 복원을 위한 비전과 전략’이 필요하다. 완주와 전주시민이 비전과 전략을 보고 새로운 도시를 선택하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조건은 첫째, 공간정책에 대한 비전이다. 진안고원에서 이어지는 새로운 산악생태축, 만경강· 전주천· 대아리저수지 등 수자원 활용, 낮은 대중교통 이용률 제고 전략 등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산업의 혁신에 대한 비전이다. 전주의 음식문화, 완주의 로컬푸드를 중심으로 한 식품산업전략이 필요하다. 통합전주시에 식품산업국을 신설하는 것도 전략이 될 수 있다. 또 국가수소산단에 대해서는 모빌리티 중심의 수소에너지에서 생활에너지로, 더 나아가 산업에너지에 이르는 ‘에너지산업생태계전략’도 필요하다. 셋째는 문화정책에 대한 비전이다. 전주의 비빔밥축제, 완주의 와일드푸드축제를 바탕으로 대규모 국제행사를 시작하자. '세계한식대회'는 'K-Food 도시'를 완성해가는 전략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사회정책에 대한 비전이다. 전주는 도시재생 성공 경험이 있고, 완주는 로컬푸드와 마을기업으로 새로운 공동체 모형을 만들었다. 이것을 통합전주시 제1의 사회적 자산으로 만드는 사회정책의 비전과 전략이 필요하다. 2013년 전주·완주 통합정책은 공공시설을 완주에 재배치하는 수준이었다. 두 지역은 인접한 위치가 아니라 완주가 전주를 에워싸고 있는 형태여서 공공시설 이전 정도로는 해결점을 찾기 어렵다. 생각을 확장하지 못하고 또다시 자원배분을 쟁점으로 삼는 실수를 범하지는 말자. 통합 후, 도시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이 나와야 한다. 단순 통합이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되고, 통합이라는 재료를 활용하여, 전북특별자치도를 선도하는 새로운 도시결합모형이 만들어지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황태규 우석대학교 미래융합대학 학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