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선출직 공직자 평가기준 들여다보니] 일부 항목 정량화 어려워 공정성 시비 예고
더불어민주당 선출직공직자평가가 본격화된 가운데 이번 평가가 형식에 그치고, 부실하게 이뤄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는 양상이다. 이 평가가 20대 총선에 처음 적용될 당시에는 하위 20%에 대해 공천을 원천 배제했지만 이번에는 공천심사와 경선에서 감점을 주는 것으로 사실상 후퇴한 상황에서 다면평가 등 일부 항목의 평가에서 과연 제대로 된 평가가 이뤄질 수 있겠냐는 의구심을 낳고 있어서다.지역 정가 일각에서는 현재의 평가 기준과 방법으로 평가가 진행될 경우 현역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어 정치신인들의 제도권 진입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평가기준과 배점은=민주당은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은 직무활동(35%350점)과 공약이행평가(20%200점), 자치분권활동(15%150점), 여론조사(30%300점)로 나눠 평가한다.직무활동의 경우 리더십역량(30%105점), 소통역량(30%105점), 재정역량(20%70점), 청렴도(10%35점), 기부활동(5%17.5점), 수상실적(5%17.5점)을, 공약이행평가는 주요 5대 공약 이행도를, 자치분권은 자치분권 사업(40%60점), 분권운동(30%45점), 분권학습(30%45점)을 각각 살펴본다.여론조사는 직무평가 30%(90점)과 인물경쟁력 70%(210점)을 조사한다.광역과 기초의원은 의정활동(35%350점), 지역활동(35%350점), 자치분권활동(10%100점), 다면평가(20%200점)로 평가가 진행된다.의정활동은 조례발의와 처리건수 등 입법성과(30%105점), 본회의와 상임위 출석률로 보는 성실도(20%70점), 지역주민에 의한 기여도(20%70점), 의회윤리소위 제재건수 또는 윤리심판원 징계건수 등을 보는 도덕성(20%70점)을 살핀다. 여기에 의회 임원의 경우 10%(35점)를 플러스한다.지역 활동은 주민소통활동 50%(175점), 당무기여도 50%(175점)로, 자치분권활동은 분권운동 50%(50점), 분권학습 50%(50점)가 반영된다. 아울러 다면평가는 의원상호평가 70%(140점)와 당원평가 30%(60점)을 적용한다.△자의적 평가 우려= 선출직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배점 등이 공개되면서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평가가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느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여론조사는 30%인데 반해 70%에 달하는 직무활동, 공약이행평가, 자치분권 활동 등의 일부 평가 항목에서 위원들의 자의적 평가에 따라 점수가 갈릴 수 있다는 것이다.직무활동 중 재정역량 등은 공모사업 액수 등을 보기 때문에 계량화에 의한 평가가 가능하지만 지역발전을 위한 성과와 비전을 발표하는 프레젠테이션, 단체장이 중앙당과의 협력 및 협의를 긴밀하게 하는지를 평가하는 소통역량의 일부 항목은 계량화가 쉽지 않아 평가위원들의 호불호에 의해 점수의 높낮이가 결정될 수 있다는 게 정치권 일각의 판단이다. 또 광역과 기초의원 평가 중 의정보고회 등의 경우도 얼마나 내실 있게 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는 것인데 어떤 기준에 의해 내실이 있고 없고를 평가할 수 있겠느냐는 목소리가 나온다.△공정성객관성 저해 우려= 민주당은 이번 선출직평가에서 광역과 기초단체장의 여론조사의 경우 기존의 전화면접 방식이 아닌 ARS 방식을 적용키로 했다. 평가시간이 촉박하고 고비용 예산에 따른 당의 부담을 고려해 이같이 결정했다는 게 평가위의 설명이다.문제는 신뢰도 확보를 위해 조사 샘플 수를 늘렸지만 전화면접이 아닌 ARS 방식의 경우 응답률이 높지 않고, 또 조직력이 막강한 현역들에게 유리할 수 있다는 점이다.특히 한국조사협회 등재 자격기준을 갖춘 공신력 있는 여론조사 기관의 경우 ARS 조사를 진행하고 있지 않아 제대로 검증이 이뤄지지 않은 업체에서 조사를 맡을 경우 공정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아울러 광역과 기초의원 평가에서 하위 20%를 결정할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는 다면평가의 경우 동료의원과 시도당 당직자, 해당 지역구 중앙대의원상무위원들에 의해 평가를 하도록 해 객관적인 평가보다 평소 개인적 관계에 의한 평가가 가능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지방의원들의 경우 다면평가가 하위 20% 포함 여부의 결정적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 당원, 당직자 등이 평가를 하면 그게 객관적일 수 있겠느냐. 의원들의 평가는 집행부 등이 제일 잘 알고 있지 않겠냐. 제대로 된 평가를 위해서는 보완이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