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산업분야 가운데 농업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높다. 우선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만 보더라도 그동안 꾸준히 감소됐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도내 전체인구의 28.1%나 차지하고 있으며 농업생산 역시 도내 전체 산업 생산의 14.1%를 차지하는 등 전북은 변함없이 농도(農道) 임을 입증해 주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전체 농업 생산 가운데 전북이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그같은 사실은 더욱 분명해진다. 농업인구는 전국 농업인구의 9.9%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지면적은 14.7%에 이르고 있다. 여기에 쌀·보리 등 식량 생산량은 경지면적과 같은 14.7%이고 채소류는 무려 42.4%나 된다. 이밖에 한우 사육두수도 8.8%를 차지하는 등 우리나라 전체로 보아서도 전북이 갖는 농업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이처럼 도내 농업분야의 비중이 큰데도 전북도의 농업관련 정책이 아직도 대부분 ‘주먹구구식’이라니 답답한 노릇이다. 물론 전북의 농정이 ‘주먹구구식’이란 지적이 비단 어제 오늘의 이야기는 아니지만 새로운 세기를 맞는 이 시점에서도 중앙정책에 따라 그때 그때 임기응변(臨機應變)식으로 대처한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소규모 중소기업이라 하더라도 중장기 운영계획을 마련하는 것은 상식인데 우리나라 농업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는 전북도의 농정이 아직까지 중장기 발전계획조차 마련되지 않았다는 것은 어떤 명분으로도 납득이 되지 않는다.
농업정책이 이러다 보니 자체 특수사업이 제대로 될리 없다. 하는 일마다 차질을 빚는 것은 당연하다. 좋은 예가 전북 쌀 브랜드 난립일 것이다. 도와 농협이 공동으로 전북쌀의 고급화와 명성을 높이기 위해 ‘EQ 2000’이라는 브랜드를 만들어 놓고도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유사한 브랜드가 난립함으로써 전북의 쌀 이미지만 추락시키고 있는 것은 정책부재의 표본이라고 해야 옳다.
어디 그 뿐인가? 지난 97년부터 도내에 조성된 1백70개 농특단지 가운데 이미 30개단지가 부실로 지정이 취소 되고 해마다 연례 행사처럼 겪어야 하는 채소 가격의 널뛰기와 축산물 파동은 따지고 보면 농업정책의 부재와 ‘주먹구구식’ ‘고무줄 통계’에 의한 결과라고 해야 맞을 것이다. 농가의 부채가 매년 늘어나고 있는 것이나, 농업의 정보화 낙후도 그 원인은 어디까지나 정책부재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도 당국은 이제라도 지역 실정에 맞는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그래서 지역농업 비전에 따라 특수시책도 추진해야 하고 중앙예산 투쟁도 벌여야 한다. 아무리 첨단 지식정보화 시대라고 하지만 모든 산업의 근본인 농업이 튼튼해야 그 토대위에서 발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