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먹을거리의 안전성이 강조되고 있다. 깨끗하고 안전한 먹을거리는 식재료인 농수산물의 생산과 유통에서 출발한다. 친환경농산물인증제도나 생산농가 실명제와 같은 제도적 장치도 먹을거리의 안전성 담보를 위해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충제 계란 사태와 같은, 건강을 위협하는 사건들이 끊이지 않게 터지면서 농수산물의 안전에 대한 불신이 날로 커지고 있다.
농가에서 유기농 등 친환경 농산물 재배가 증가하고는 있지만,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농작물을 재배하기가 쉽지 않다. 농산물 종류별로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정해 관리하는 것도 이 같은 현실 때문이다. 농가들이 이 같은 기준을 지키지 않을 경우 농작물에 농약이 잔류할 가능성이 있고, 건강에 유해한 농산물 유통을 막기 위한 관리가 필요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도내 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유통되는 농산물에 대한 안전관리가 허술한 모양이다. 현재 전주·익산, 정읍 등 공영 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100여개 안팎의 품목이 경매되고 있고, 거래량은 지난해 말 기준 전주 7만6895톤, 익산 5만2399톤, 정읍 1만3685톤에 이른다. 이처럼 많은 품목과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작 전북보건환경연구원의 농산물 유해물질 조사는 올들어 10월말까지 전주도매시장 12회, 익산도매시장 8회, 정읍도매시장 44회 등 모두 64회에 불과하단다. 농산물 검사가 월평균 전주도매시장 1번, 익산 0.6번, 정읍 2번에 그친 셈이다.
농산물 도매시장에서의 경매 전 안전성 검사는 농산물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유효하고 강력한 수단이다. 그럼에도 도내 도매시장에서 이런 안전성 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까닭에 농산물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를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9개 시도에서 보건환경연구원 내 농수산물검사소를 설치·운영하는 것과 대비된다.
현재 전북보건환경연구원의 농수산물 검사과가 설치돼 농산물잔류농약과 수산물 중금속 및 방사능 검사를 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공영도매시장뿐 아니라 유통농산물 전반을 아우르고, 의약품·화장품 품질 검정까지 병행하고 있어 농수산물 유해성 검증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농산물 도매시장에 상주하면서 경매시간 전에 매일 안전성 검사를 할 수 있도록 농수산물검사소를 설치해야 한다. 안전한 농산물 유통은 소비자의 신뢰도 확보 측면에서 뿐 아니라 생산 농가의 농약 사용 오남용을 줄이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