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일보를 비롯한 한국지방신문협회(한신협) 소속 부산일보, 강원일보, 경남신문, 경인일보, 광주일보, 매일신문, 대전일보, 제주신보 등 9개 회원사는 디지털 시대에 걸맞게 지역민의 보편적 정보 접근권 보장과 건전한 지역 여론을 조성하기 위해 공동칼럼을 게재한다.
한신협은 정치권과 학계 등 오피니언 리더들을 필자로 초청한 이번 공동칼럼게재를 통해 지역 뉴스가 배제된 현재의 포털 뉴스서비스에 대한 문제의식을 국민과 공유할 계획이다. 또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국회에 계류중인 ‘포털의 위치 기반 뉴스서비스와 지역 뉴스 의무 노출 의무화 법안’의 조속한 통과를 촉구할 계획이다.
지역언론이 위기다. 위기론은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서 많은 책임감을 느낀다. 지난 4월에 여야의원 13명의 공동서명을 받아 일명 ‘네이버-지역언론 상생법’을 대표발의했다.
이 법안의 요지는 국민 대다수가 매일 이용하고 있는 네이버 등 포털의 첫화면에 일정비율 이상으로 지역언론 기사반영을 의무화하는 것이다. 포털에 노출되는 뉴스가 중앙언론에 집중돼 있는 불균형과 차별을 개선해야 지역언론이 살 수 있는 길이 열리기 때문이다.
지금도 지역언론의 뉴스는 종이신문으로 소비되는 비율은 낮지만, 인터넷 등 포털을 통해 많은 독자들이 읽고 있다. 특히 지역을 특화한 지역언론의 기사들, 예를 들어 지역내 맛집이나 추천여행지 등에 대한 뉴스나 콘텐츠를 이용하는 비중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기사나 콘텐츠는 중앙언론 보다는 지역언론이 더 경쟁력이 있다.
현재 뉴스 소비의 주류는 포털이다. 가장 많은 국민들이 포털을 통해 뉴스를 소비하고 있다. 한 조사에 따르면, 종이신문을 보는데 하루 평균 5분을 사용한 반면, 모바일 등을 통한 뉴스 소비는 하루 평균 1시간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민 대다수가 이용하는 포털에서 지역언론의 기사나 뉴스를 쉽게 찾고 접할 수 있는 기회가 구조적으로 박탈되어 있다. 이는 뉴스시장의 지배적 지위에 있는 포털에게 많은 책임이 있다. 하지만 그동안 포털사는 지역언론의 뉴스를 노출해달라는 지역언론사들의 요구에 대해 기술적 문제나 시장성 문제 등을 들어 외면해왔다.
우리 국민 90%가 사용하는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 메인화면은 뉴스로 시작된다. 이러한 뉴스 서비스를 통해 포털은 엄청난 부를 축적했다. 하지만 전체 지역언론의 매출을 합한 것보다 더 많은 돈을 벌지만 지역뉴스에 대해선 1원도 쓰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우리 모두는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살고 있다. 서울이나 수도권 역시 전체로 보면 한 지역에 불과하다. 하지만 포털 메인화면에는 지역언론의 뉴스가 거의 노출되지 않는다. 중앙언론 기사 일색이다.
이는 중앙언론과 지방언론간 심각한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또한 대부분의 국민들에게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문제에 대한 관심을 외면하게 만든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정작 국민들 각각의 생활과 삶에 중요한 지역의제는 축소되고, 생활정치와 지방자치의 핵심기반은 붕괴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력한 해법은 포털이 지역언론의 기사를 일정비율 이상 의무적으로 게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지역뉴스가 뉴스 소비자에게 전달되고, 소비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지금까지 거의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한 지역뉴스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이를 통해 지역언론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기술적으로도 어렵지 않다. 경제적 부담을 주는 것도 아니다. 정부도 문제의 심각성을 느끼고 있다. 포털이나 정부의 의지만 있다면 가능하다.
지금은 포털시대다. 포털이 공론장이고 미디어다. 또한 포털이라는 인터넷 공간에는 중앙과 지방이 있을 수 없다. 차별이 없어야 한다. 하지만 지금 포털에는 차별이 심하다. 이는 뉴스공급자인 포털에게도, 뉴스생산자인 지역언론에게도, 뉴스 소비자인 국민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제라도 ‘포털-지역언론-국민’모두가 상생하는 길을 열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