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1-29 03:49 (금)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국회·정당
일반기사

[제21대 총선으로 본 미래 전북] ⑦ 향후 과제

중진 없어 정치적 역량 약하고 리더십 미흡
의원, 지역발전 위한 시각·투쟁력 배양해야
군산조선소 등 현안해결 위해 연대 강화 과제
선거 후 분열되고 반목된 민심도 수습해야

제21대 4·15 총선에서 사실상 일당독주체제가 부활하면서 전북 정치권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 9명이나 당선인을 내면서 그간 제대로 풀리지 않았던 지역 현안 해결이나 화합이 잘 되는 의정활동에 대한 기대가 크다.

반면 3선급 중진의원이 없어 중량감이 떨어지기에 지역 현안 해결에 힘이 부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특히 20대 국회에서 핵심 당직을 맡았던 의원과 친문(친문재인) 의원들이 중진의 반열에 올라 정치적 헤게모니를 공고히 하는 상황에서 ‘전북 목소리’가 급격히 약화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여기에 야권 의원이 없어 국회에서 미래통합당 등 보수당과 현안을 논의하고 해결하기 위한 소통창구도 약화됐다는 관측이다.

21대 전북 정치권은 20대 국회보다 훨씬 척박한 환경에 처해있다. 재선의원이 최다선으로 6명, 초선이 4명이다. 정치적 조정능력을 갖추거나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할 3선·4선 급의 중진이 없는 셈이다.

또 과거 국민의당처럼 국회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수 있는 정당에 소속된 의원도 없고, 당선인 9명이 민주당, 1명이 무소속이다.

민주당 내부에서도 변방으로 밀리지 않겠느냐는 걱정도 나오고 있다. 당선인들 면면을 살펴보면 ‘범친문(친문재인)으로 불리긴 하지만 당내 주류로 분류되는 의원이 별로 없고, 핵심과도 거리가 먼 의원들이 대부분이다. 사실상 주변인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때문에 당선자 개개인을 놓고 보면 전문성이나 개인 정치력을 갖출 수는 있지만, 전북 정치권의 도약을 이끌만한 역량이 약하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최근 이 같은 평가를 방증할만한 일도 있었다. 전북 10명 당선인이 지난 23일 ‘4세대 원형 방사광가속기’의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유치에 광주·전남권 당선인들과 서명을 한게 대표적 사례다. 정읍 첨단연구단지에 이미 방사선 국책연구기관이 있으며, 참여정부시절 김원기 국회의장과 유성엽 정읍시장이 방사광가속기의 정읍유치를 추진한 사실을 감안하면 ‘생각 없이 전남광주에 들러리를 섰다’는 비난을 면키 어려워 보인다. 더구나 전남권은 새만금국제공항 등 전북 현안에 대해 시비를 거는 경우도 많았다.

이 때문에 지역 발전을 위한 비전과 시각, 정치적 투쟁력을 배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1대 국회가 열리기 전부터 전북에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재가동, 국립공공의료대학원 설립, 제3금융중심지 지정 등 악화된 지역 경제와 관련한 현안이 산적해있다. 차기 대선이나 지방선거 등을 앞두고 당내 역학구도에 휩쓸리기보다 오히려 지역 정치권의 역량을 꾸준히 강화해 주요 현안들을 적극 해결해나가야 한다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특히 이번 총선에서 미래통합당의 비례위성정당에서 전북 출신 당선자가 4명이나 나옴에 따라 당을 떠나 지역 현안에 대한 공조가 필요한 부분은 적극 협조해야 한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이에 앞서 지역에서는 선거 후 분열되고 반복된 민심도 수습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민주당내 경선과정부터 본선까지 후보들 사이에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갈등이 심화됐고, 이에 따른 고소·고발도 난무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원외에 있는 전북 야권의 비판에도 귀를 기울이며, 정당과 사적인 관계를 떠나 ‘전북당’소속이라는 인식을 공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끝>

 

 

김세희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