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5 12:00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참여&소통 2020 시민기자가 뛴다] 이제 퍼스널 모빌리티 시대! 지역 인프라 구축 준비 필요

남궁문 원광대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퍼스널모빌리티 예상 수요. 출처=서울시
퍼스널모빌리티 예상 수요. 출처=서울시

코로나19 시대가 계속 이어지면서 경제·사회·문화·교육 등 전반적인 분야에서 코로나19 사태 이후 사회 변화에 대한 대응전략이 나오고 있다.

코로나를 슬기롭게 극복하면서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기대하고 있으나, 개발 완성 시기가 불투명해 불안이 고조되면서 비대면 사회 활동이 증가라고 집단 활동보다는 개인 활동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에 각국들은 코로나 시대에 따른 경제활동과 국가 경쟁력 유지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코로나에 대한 경제적 충격 완화를 위해 1, 2, 3차 추경을 했다.

주요 국가들과 우리나라에서 추진하는 추경 사업 내용을 보면 비대면을 통한 다양한 사회 활동 활성화와 지원을 위한 사업들이 주력을 이룬다. 우리나라는 ‘한국판 뉴딜 사업’으로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휴먼 뉴딜’ 등을 강조한다.

디지털 뉴딜 사업은 21개 신산업 분야인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5G, 3D프린팅, 블록체인, 지능형 반도체, 첨단소재, 스마트 헬스케어, AR·VR, 드론, 스마트공장, 스마트팜, 지능형 로봇, 자율형 자동차, O2O, 신재생에너지, 스마트시티, 핀테크, 바이오’ 등을 중심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이 같은 기술이 혁신 개발되고 응용과 활용력이 증진되기 위해서는 데이터(Data), 네트워크(Network), 인공지능(AI) 부분이 중요하게 부각된다.

사람과 물건 등 이동과 활동에 따라 순간순간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기반을 구축하고, 5G 등 네트워크를 고도화해 다양한 비대면 활동 분야를 육성하고 사회기반(SOC)을 디지털화 해 궁극적으로 사회 일자리를 창출하는 선순환적인 경계 흐름의 구조를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

코로나 시대에 따라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 중 사람들 활동 패턴과 이동 교통수단 등의 변화가 눈에 띄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사람과 물건 이동을 다루는 교통 분야 디지털 뉴딜은 다양한 교통 분야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디지털화하는 것과 함께 4차 산업혁명 시험대라 할 수 있는 모빌리티 서비스 혁신이라 할 수 있다.

디지털 뉴딜에 따라 공유 활용이라는 개념 속에 이뤄질 모빌리티 서비스 혁신 사업 중심에 개인형 이동 수단이라고 할 수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 활성화 사업이 있을 수 있다.

지금까지 이동 수단은 먼 거리를 더욱 빠르게 이동하는 수단이었다면, 퍼스널 모빌리티는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최고속도 시속 25km, 차체 중량 30kg을 넘지 않는 것으로 규정한다.

 

전형적인 퍼스널모빌리티. 출처=한국교통연구원
전형적인 퍼스널모빌리티. 출처=한국교통연구원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 현황과 전망

퍼스널 모빌리티를 대표하는 개인형 이동 수단으로는 전동휠, 전동킥보드, 전기자동차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제품들은 2019년 기준 해외에서 4313만3000대 판매됐고, 국내 시장은 19만6200대(1066억 원)로 파악된다.

특히 미국은 공유시스템이 활성화 돼 2010년 32만 건, 2017년 35백만 건, 2018년 84백만 건 등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오는 2025년에는 400억~5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를 활용한 공유서비스를 2019년 말 기준으로 19개 서비스 사업자가 2만1410대 제품을 운영하고 있다.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세에 카카오, 네이버, 현대자동차 등과 같은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기업들도 시장에 뛰어들었고, 해외 모빌리티 공유서비스 업체 등도 국내 시장에 진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발 맞춰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은 개인형 이동 수단 성능과 안전, 이용 방법, 공유서비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법률과 정책 등을 마련하고 있으며, 업계에서도 공유서비스에 적합한 제품 개발과 생산에 주력하고 있어 그 수요와 이용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 증가에 따른 지역 인프라 구축

개인 이동 수단으로 퍼스널 모빌리티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이에 대응하는 다양한 제도와 인프라가 지원되지 않으면 사회적 병리 현상이 발생할 것이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 문제다. 개인형 이동 수단 교통사고 발생은 2017년 117건에서 2018년 225건으로 증가했다. 숫자적으로는 적은 것 같지만 매년 2배 가까이 증가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사고가 발생하면 27% 정도가 중상 사고로 이어지고 있다. 개인 교통수단 사고는 개인 교통수단이 일반 자전거 등에 비해 빠른 속도와 높은 가속도, 무거운 중량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 위험도를 가중시키고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에 경우 자전거도로나 보행로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교통수단 간 전용권을 지닌 도로 구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통행 관련 제도 및 제품 안전기준 보완, 이용자의 안전 인식 및 문화 의식 확산, 보행자-개인형 이동 수단-자동차 등 같이 혼재된 환경에서 안전문화 정착 등과 같은 제도와 규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특히 지역은 보행자와 자전거 도로 등 좁은 폭, 포장 불량, 도로 단차, 이동 장애물, 보행자 이동 혼재 등에 따른 교통시설 보완, 교통 안전성 확보 같은 도로 인프라 구축과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

나아가 도로 진출입로와 교차로 같은 교통사고 위험 구간에 대한 안전시설 개선과 충돌 방지를 위한 교차로 사각지대 같은 시각정비, 안전시설과 안내 표지판 등이 잘 보이도록 시인성 증진 같은 다양한 이동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다.

또 퍼스널 모빌리티 이동 수단으로 활용이 늘고 있는 전동보드는 규정을 잘못 이해한 경우가 많아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라 개인별 이동을 선호하고 있고 이에 따라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공유라는 개념이 이제는 디지털 뉴딜 정책에 따라 더욱 활성화되어 갈 것이다. 이에 따라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도 공유 개념에 따라 더욱 이용성이 증진될 것이다. 따라서 이동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해 도로설계, 교통정책 수립, 운영, 유지 관리 등과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성 증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관심을 기울여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기획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