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이후 6월 지방선거 입지자의 출사표가 줄을 잇고 있다. 비대위원장 사퇴 문제로 내홍을 겪는 민주당도 이를 위한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예비후보 등록의 첫 관문인 후보자 부적격 심사 1차 결과를 발표하는 등 분주하다. 이런 가운데 눈에 띄는 건 도지사 후보군의 난립이다. 민주당 경선에만 7명 안팎이 뛰어들 것으로 보여 다자 구도는 기정사실화 됐다. 송하진 지사에 이미 도전 의사를 밝힌 안호영 김윤덕 의원과 김관영 전 의원, 김재선 씨는 사실상 출전 채비를 갖췄다. 유성엽 전 의원도 출마 쪽에 무게가 실리고, 진선미 전 장관의 전략 공천설도 흘러나온다. 2014년 경선 송하진-유성엽, 2018년 송하진-김춘진 양강 구도와 비교해보면 송 지사 대항마가 아직은 뚜렷하게 부각되지 않은 형국이다. 후보군 경쟁력이 비교적 평준화돼 선택이 쉽지 않다는 판단이다. 이런 공천 문제를 다루는 비대위 운영이 내일 원내대표 선거 결과에 따라 회오리 바람도 배제할 수 없어 주목된다.
아니할 말로 도지사는 과거 명성과 평판 그리고 본인의 강한 의욕만 가지고 도전할 수 있는 자리가 아니다. 유권자 입장에선 이들이 14개 시군 조직력을 가동할 수 있는 최소한의 준비 여건을 갖췄는지도 궁금하다. 설령 부족하더라도 잠재적 경쟁자인 지역 국회의원의 지원 사격을 받아내느냐 여부도 하나의 시험대다. 만약 둘 중 하나라도 전제되지 않으면 결국은 민주당 지지세를 염두에 두고 중앙당의 ‘공천 대박’ 만 잔뜩 기대한다는 오해를 살 수 있다.
물론 일각에선 3선 피로감 때문에 송 지사 출마에 대해 부정적이다. 후보군 중에는 이런 밑바닥 정서를 파고들어 이번 선거를 다목적 카드로 활용한다는 계산이다. 혹시 모를 변수에 따른 송 지사 불출마를 대비해 몸 풀기에 나선다거나 포스트 송하진을 겨냥한 ‘알박기 출마설’ 도 그럴 듯 하다. 또한 2년 뒤 총선 출마를 위한 사전 정지작업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정작 유권자들이 눈여겨보는 것은 도지사 업무수행 능력이다. 중앙 부처는 물론 국회 정치권과도 말이 통하고 전북 몫 이상의 국가 예산을 챙길 수 있는 ‘내공’ 이 관건이다. 이런 기조위에서 예전 국회와 행정부에서의 성과를 입지자 본인이 공개하고 도민 검증을 받아야 함은 물론이다. 무엇보다 자신이 맡은 바 자리에서 본연의 역할을 충분히 해냈는지 성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민주당 검증위 부적격 심사 과정에서도 입지자 스스로가 검증 기준에 못 미치면 신청 자체를 아예 포기한다고 한다.
미래를 향해 질주하는 전북의 추진 동력은 예전만 못하다. 갈수록 쪼그라드는 지역 위상과 성장 잠재력은 지역소멸 위기론에 투영돼 있다. 이런 총체적위기 국면에서 전북號 선장은 과연 어떤 인물이어야 할까. 정치적 순발력과 위기극복 능력으로 그간 자신의 존재감과 역량을 증명해 보인 후보에게 유권자의 눈과 귀는 쏠릴 것이다.김영곤 논설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