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5:55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사설
오피니언

푸르밀 사태, 도내 낙농기업 발전 기회로

염려했던 푸르밀 사태가 일단 종료됐다. 한숨 돌리긴 했으나 앞으로 구조조정과 신뢰 회복 등 넘어야 할 산이 첩첩이다. 이번 푸르밀 사태는 도내 낙농기업과 행정 및 정치권에 커다란 시사점을 던져주었다. 기업은 사업다각화와 시설 투자 등 시대적 흐름에 앞서가야 하고 행정 및 정치권은 자칫 산토끼를 쫒다 집토끼를 놓치는 잘못을 범해선 안 된다는 점이다.

우선 기업의 입장과 문제를 보자. 푸르밀은 당초 이달 말 사업 종료를 선언했으나 직원들의 강력한 반발과 고용노동부의 중재 등으로 직원 400여 명 중 30%를 구조조정하는 선에서 사업을 계속키로 했다. 이에 따라 3년 이상 근속자를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 희망퇴직자가 30%에 미치지 못할 경우 권고사직 방침을 정했는데 반발이 예상되고 있다. 또 대리점과 농가 등 거래처에 대한 신뢰 회복도 쉽지 않다. 이윤이 적은 유통업체 자체브랜드(PB) 사업을 축소하고 대리점 유통물량 확보에 집중키로 했으나 대리점 측이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창업 45년째인 푸르밀은 2018년 전문경영인을 배제하고 창업주인 신준호 회장의 차남인 신용환 대표가 경영을 맡으면서 내리막길을 걸었다. 적자가 누적되는데도 사업 다각화 등 경영 활로를 뜷는 노력이 미흡했다. 구조조정 이후에도 적자를 벗어난다는 보장이 없어 또다시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

다음은 도내 행정 및 정치권의 대처 태도다. 도내에는 푸르밀 이외에도 대기업 수준의 유가공업체가 건실하게 운영되고 있다. 국내 최대 규모의 유기농 생산공장인 매일유업 고창 상하공장과 덴마크 우유로 널리 알려진 종합식품기업 동원 F&B 공장, 요거트 액티비아를 생산하는 무주의 풀무원다논 공장이 그것이다. 이들 업체는 그동안 대규모 사업을 벌이고 있음에도 도내 정치권이나 자치단체의 관심에서 벗어나 있었다.

그러나 전북에 뿌리를 내린 이들 기업은 무엇보다 소중히 가꿔야 할 큰 자산이다. 지금 낙농기업들은 출산율 저하에 따른 유제품 소비 감소와 원유값 상승 등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들 기업들이 어려움을 극복하고 더 활발하게 기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행정과 정치권, 도민들이 지원해야 한다. 도내에 정착한 기업이 잘 돼야 다른 기업도 이를 보고 찿아올 것이 아닌가.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푸르밀 #낙농
전북일보 [email protected]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