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1-28 19:54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기획 chevron_right 전북의 문학 명소
외부기고

[전북의 문학 명소] 14. 우리 마음 닿는 곳마다 문학이 있네

image
임실호국원, 초남이성지, 실상사, 만복사지.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우리를 살아가게 하는 단 하나의 힘, 사랑

세상을 이루는 건 자연이고, 그 자연에 가치를 부여하는 건 인간이다. 그리고 인간이 부여한 자연의 가장 위대한 가치는 예술이다. 문학을 포함한 모든 예술은 인간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게 하는 가장 강력한 힘이 된다. 그리고 인간이 자연을 마주할 때 느끼는 미묘한 감정을 사랑이라는 말로 부른다. 그러니까 사랑은 어떤 것에 부여하는 인간의 가장 위대한 가치이자, 인간만이 만들어낼 수 있는 감정이다.

이것이 사랑에 빠진 사람이 예술적 감성으로 충만해지는 이유다. 그래서 사랑하고 있는 동안에는 자주 자기를 벗어나 바깥으로 나가게 된다. 그 첫 번째 여정을 초남이 성지로 삼아보면 어떨까? 완만한 능선이 우리의 눈높이에서 부드럽게 물결치고, 숱한 발걸음이 다져놓은 길을 따라 걸어가면 인간의 위대한 사랑이 나타난다. 그곳에서 인간의 사랑이 신의 부름 앞에 순교했다는 건 잘 알려져 있다. 소설가 서철원은 󰡔최후의 만찬󰡕에서 그 높고 숭고한 사랑을 이야기했다. 사랑하는 사람과 그림자를 나란히 하면서 초남이 성지를 걷다 보면, 사랑이라는 감정이 다른 사람을 신처럼 받들어 모시는 것이란 걸 알게 된다.

초남이 성지에서 성스러운 사랑을 보았다면, 남원 광한루원에서는 주체할 수 없는 연정을 만나게 된다. 판소리 <춘향가>에서 춘향과 이몽룡의 첫 만남이 이루어진 그네에 오르면, 벅차게 솟구치는 사랑의 감정을 알 수 있다. 그 마음으로 사랑하는 사람과 다정하게 손을 잡고 광한루원을 걸어보라. 그러면 앞서 걷는 그림자까지도 서로 다정해질 것이다. 그러다가 늘어진 버드나무 그늘에서 서로의 눈을 깊이 들여다보면, 거기 당신이 보일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의 눈에 담겨 있는 당신보다 더 아름다운 세계가 또 있을까?

그 투명한 모습으로 혼불문학관을 찾아가는 길에서 우리는 전 10권에 달하는 소설 󰡔혼불󰡕의 책갈피를 한 장 한 장 넘기는 기분과 만난다. 수백 년의 시간이 묵묵하게 다져진 길과 무수한 사람들의 눈길이 더듬었을 언덕과 산자락이 마치 누대를 이어온 종가의 모습이다. 그곳에서 살았던 연인들의 애끓는 사랑이 한 줄기 바람처럼 스쳐 간다면, 그 바람 끝자락에 서 있을 강모를 떠올려보아도 좋을 것이다. 혼불문학관에 오르면 신분도, 윤리도, 몽둥이도, 시대도, 사상도… 그 어느 것으로도 막을 수 없는 게 사람을 사랑하는 일이라는 걸 절실히 알게 된다.

 

△ ‘나’라는 별이 밤하늘에 반짝이는 방식, 외로움

철학자 하이데거는 인간을 어느 날 세상에 툭 던져진 존재라고 규정했다. 그래서 인간은 본질에서 고독하고 외로운 존재인지도 모른다. 사랑하는 사람과 같이 있어도 문득 외로움이 찾아오기도 한다. 그럴 때 혼자 훌쩍 길을 나서게 된다. 그래서 세상의 모든 길은 외로운 걸음이 만든다. 길은 외로움처럼 세상 곳곳으로 이어져 있고, 그래서 끝나지 않을 것만 같다. 그럴 때 한 편의 시가, 한 권의 소설이 외로운 길을 말 없이 함께 걸어주는 친구가 되어 줄 수 있다.

시인 안도현은 외로운 날에 완주 화암사에 간 모양이다. 그는 시 「화암사, 내 사랑」에서 화암사를 두고 “잘 늙은 절 한 채”라고 표현하였다. 실제로 화암사는 그렇게 보인다. 그래서 그곳에서는 외로워할 이유가 사라진다. 늙는다는 건 외로움이 끝난다는 뜻이니까. 외로움쯤이야 세상의 먼지처럼 인생에서 만나는 사소한 일에 불과하니까. 그러나 그걸 아는 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외로움의 궁극에 서 있는 자기를 발견해야 한다. 그러기에는 화암사가 제격이다. 세상 가장 깊은 자리에서 외로운 사람을 불러들이는 화암사. 그러니 화암사에서 발길을 돌려나오는 사람의 표정에서 잘 늙은 삶의 한 단면을 읽어낼 수 있다.

남원 실상사도 혼자 찾아가기 좋다. 아니, 혼자 찾아가야 하는 절이다. 그래야 도종환 시인이 말한 것처럼, 우리의 ‘진여실상’을 만날 수 있으니까. 고즈넉한 실상사 마당에 서 있으면 내가 세상의 중심이 된 듯하다. 외로움이란 그렇듯 자기중심이 강하게 발현되는 현상이다. 그래서 외로움이 너무 깊어지지 않도록 실상사 입구에는 장승이 서로를 마주하고 서 있다. 우리 사는 세상은 혼자가 아니라는 걸 그렇게 알려준다. 그러므로 외로움을 혼자 견디지 말자. 누군가 우리를 먼발치에서 지켜보고 있으니까, 아주 다정하고 따스한 눈길로.

남원의 옛 서도역도 혼자 찾아가기 좋은 문학 명소다. 억새가 흐드러진 가을 오후라면, 그곳에 혼자 있어도 결코 혼자가 아닌 기분이 든다. 외로운 기분으로 찾아갔다가 더는 외롭지 않게 되는 곳이다. 남아 있는 철길이 두 갈래라서 그렇다. 한쪽 선로에 올라 두 팔을 펼치고 균형을 잡고 걸으면, 저쪽 선로에서도 누군가 나란히 두 팔을 펼치고 서 있을 것 같다. 그러다가 느닷없이 손끝과 손끝이 스치는 순간이 오지 않을까? 그것을 두고 인연이라고 해도 좋고, 운명이라고 해도 좋다. 외로움은 인연과 운명 앞에서 조금 작아질 것 같다.

순창 남계리 석장승보다 외로운 사람이 있을까? 장교철 시인은 시 「석장승 남계리」에서 석장승의 외로움을 “별이 떨어진 그 자리”라고 적었다. 그렇다. 우리가 외로움을 느끼는 건, 우리 마음에 언젠가 떨어져 내렸던 별이 있어서다. 그래서 그 별이 반짝거릴 때마다 우리는 문득 외로움을 느낀다. 그러나 석장승보다 더 외로운 사람은 없다. 그래서 가끔 우리 외로워질 때마다 남계리 석장승 옆에 서주어야 한다. 서로가 조금은 덜 외로울 수 있도록.

 

image

△누군가 점점 다가오는 순간, 설렘

사랑과 외로움은 그 시작과 끝에서 언제나 설레는 감정과 연결된다. 설레는 순간 세상은 새롭게 발견되고, 설레는 순간 나는 새로운 사람으로 태어난다. 이 새로운 순간이 모든 예술과 문학의 근원이 된다고 오랫동안 우리는 말해왔다. 삶에 설렘이 없다면 우리의 심장은 얼마나 심심할까? 낯선 여행길에서 만난 낯선 사람 앞에서 마음껏 설레보자. 그 자리에 시집 한 권쯤 동행한다면 설렘이 더 크게 박동하지 않을까?

설레고 싶다면 임실 섬진강길을 걸어보라. 맑은 물살을 옆구리에 끼고 물의 속도보다 조금 느리게 걸으면 마음 어딘가에서도 소살거리며 흘러가는 게 있을 것이다. 그 길에서 사랑에 관한 시를 만난다면 더욱 기쁘지 않을까? 섬진강길에 서 있는 김용택 시인의 시비 앞에서 천천히 시를 읽으면, 나무도 풀도 구름도 햇살도 모두가 설레어 환해지는 걸 느끼게 된다. 그럴 때 옆에 나란히 선 사람을 마주 보아라. 세상이 온통 설레게 될 것이다.

장진영기념관 영화배우 장진영(1972∼2009)을 추모하기 위해 만든 곳이다. 임실에서 태어난 장진영은 전주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다녔다. 1997년 KBS 드라마 《내 안의 천사》에 출연하며 배우로 데뷔했고, 《연애, 그 참을 수 없는 가벼움》으로 대한민국영화대상 여우주연상을 받았으나, 2008년 9월 위암 진단을 받고 투병하다가 이듬해 향년 37세로 세상을 떠났다. 장진영기념관은 고인이 출연한 동명의 영화 원작 소설인 김하인의 장편소설 󰡔국화꽃 향기󰡕를 읽고 가보면 좋은 곳이다.

남원의 만복사지도 우리의 가슴을 설레게 하는 곳이다. 만복사지는 김시습이 지은 󰡔금오신화󰡕에 나오는 <만복사저포기>의 무대이다. <만복사저포기>는 죽은 여자와의 사랑을 절절하게 그려낸 고전소설이다. 주인공 양생은 만복사라는 절에서 부처님과 내기하여 젊은 여인과 인연을 맺은 뒤 재회를 약속했다. 그런데 그 여인이 3년 전에 죽은 여인이라니. 살아 있는 사람과 죽은 사람 사이의 사랑이 강하고 애절하게 드러나 있는 작품을 읽고 가면 사랑이 얼마나 위대한 일인지를 알게 될 것이다.

 

△어느 날 길을 잃었을 때 우리는 방황

살다 보면 눈앞에 갈림길이 나타날 때가 있다. 두 갈래라면 선택이 조금 쉽겠지만, 무수하게 얽혀 있는 길이 있다면 혼란을 겪게 된다. 그것이 삶이다. 가야 할 길 혹은 가고 싶은 길이 없을 때 우리는 방황하고, 방황하면서 인생의 방향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어버린다. 그럴 때 힘이 되어 주는 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문학과 예술은 인간이 가장 힘든 순간에 찬란하게 빛나는 미래를 열어주는 힘이 있다.

임실 호국원은 국가를 위해 자기를 희생한 사람들이 잠들어 있는 곳이다. 지금 방황하고 있는 당신들에게 이곳을 추천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임실 호국원에는 자기 인생을 묵묵히 살아낸 사람들이 다른 곳보다 많기 때문이다. 끝없이 세워져 있는 묘비를 손바닥으로 만져보고 묘비에 새겨진 이름을 나지막하게 읽어보라. 저마다의 인생이 살아간 흔적이 보일 것이고, 그 인생이 나아가고자 했던 길이 열리는 걸 느낄 것이다. 다른 사람의 삶을 통해 나 자신이 살아가야 할 길을 얻는 곳. 임실 호국원에서 돌아 나올 때쯤이면 우리 앞에 선명한 운명의 길이 펼쳐져 있을 것이다.

임실 호국원에서 나와 갈담을 지나 전주 쪽으로 방향을 잡으면 섬진강물이 잠시 숨을 고르는 옥정호가 나온다. 옥정호는 섬진강 물길이 전열을 채비하는 곳이다. 그러나 물속을 들여다보면 그 안에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있고, 길이 있다. 거미줄처럼 얽혀 있는 옛 흔적들을 잔잔한 수면이 감추어버렸다. 옥정호는 속내 복잡한 가운데 무표정하게 서 있는 우리 모습을 닮았다. 그래서 수면에 언뜻 그런 모습이 비치는지도 모른다. 근심이나 시름 같은 혼란한 마음을 옥정호 물에 풍덩 빠뜨려 버리면 어떨까? 후련하고 시원하지 않을까?

마음 복잡하고 삶의 갈피를 잡기 어려울 때 마지막으로 들러보고 싶은 곳은 이치전적지다. 완주군 운주면 대둔산 자락에서 충남 금산으로 나가는 길목인 이치는 정유재란 당시 조선 민관군과 왜병들 간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다. 김동진은 역사소설 󰡔임진무쌍 황진󰡕에서 “적의 보병들이 진격해올 길목마다 날카로운 마름쇠를 뿌려놓았다”라고 묘사한 적 있다. 이 소설을 읽고 나서 이치전적지를 찾아가면, 방황하는 우리 삶의 길목마다 날카로운 마름쇠가 놓여 있을 듯하다. 그래서 엉뚱한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우리 발길을 붙잡아줄 것만 같다. 그렇게 문학은 인간의 내면에서 빛난다. /문신(문학평론가, 우석대 문창과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학명소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기획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