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여파로 신입생이 한 명도 없는 초등학교가 급증하고 있다. 저출산은 국가적 과제이지만 지역에서도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서거석 교육감은 9일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올해를 학생 유출 없는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지금 우리에게 가장 절실한 문제는 인구 소멸, 학령인구 유출"이라며 "인구 유출은 일자리 부족이 원인이지만, 학령인구 유출은 교육의 문제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서 교육감의 인식은 정확하다. 하지만 그의 약속대로 ‘학생 유출 없는 원년’이 될지는 의구심이 따른다. 전북의 경우 올해 신입생이 0명인 초등학교는 32개교에 이른다. 2020년 9개교, 2021년과 2022년 3개교, 2023년 20개교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또 신입생이 1명인 학교도 37개교에 이른다. 지난해 17곳보다 20곳이나 늘었다. 이로 인해 올해 폐교는 9곳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많다.
이에 대한 대책은 무엇인가. 국가적 재앙으로 다가온 저출산을 극복하지 않고는 대책이 없다. 그러나 지금까지 저출산 대책은 220조를 쏟아 붓고도 오히려 뒷걸음쳤다. 이대로 가다간 국가마저 해체되어야 할지 모를 지경이다. 특히 학생수의 감소는 심각하다. 소규모 학교가 문을 닫으면 교사의 자리가 없어진다. 초등학교의 폐교는 몇 년 후 시차를 두고 중고등학교로 이어지고 대학도 문을 닫을 수 밖에 없게 된다. 결국 지방소멸로 이어진디.
학생수 감소는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하나는 일자리 부족이요, 또 하나는 양질의 교육이 되지 않아서다. 일자리 창출은 지자체와 기업 등이 나서야 하고, 양질의 교육은 교육청과 대학이 나서야 한다. 대개 이 둘은 서로 연계돼 있고 상호 보완적이다. 그래서 김관영 지사는 해마다 기업유치와 경제살리기를 전북도의 역점과제로 내세운다. 나름대로 노력하고 있으나 성과는 두렷하지 않다. 그리고 교육의 경우 서 교육감은 학력신장을 과감히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올해는 AI기반 미래교실 구축과 디지털 수업역량 강화 등 10대 과제를 내세웠다. 이러한 과제가 성공적으로 추진되었으면 한다. 여기에 적절한 학교통폐합, 농촌유학 확대 등 다양한 해법을 시도했으면 한다. 그래서 학생이 찾아오는 희망의 전북교육이 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