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속 청년과 청년 정치
박혜령 전주시사회혁신센터 팀장 21대 총선을 앞두고 청년 정치에 대한 기대와 요구가 등장하고 있다. 각 정당별로 청년정치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있는가 하면, 언론들은 새로운 정치에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청년, 청년 정치라는 말이 관행처럼 사용되고 여전히 정치권을 뜨겁게 달구는 아이템인 동시에 새로움을 추구하고 있다는 행동이 되고 있지만, 말로만 청년 정치를 외치는 현실에 그치고 있다는 것이 현실이다.
과거 청년 발탁 사례를 성공적으로 보지 않는 시각이 많다. 청년 비례의원이 청년세대와 소통하는 게 아니라 자기 관심 있는 활동을 주로 했다. 그런 사람들을 세대 대표 경선을 해서 데려와야 하느냐를 두고 당내 이견이 있었다고 말한 3선의 한 국회의원의 발언은 기성세대의 청년을 바라보는 시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다.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청년은 새로움, 신선함, 아이디어, 패기, 열정의 이미지로 소비되고 있으며, 이는 정치권에서도 청년 정치인에 거는 기대가 이러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형성되고 있기에 이러한 역할을 청년 정치인이 수행하지 못한다면 청년답지 못한 정치인으로 취급받기에 이른다.
그러나 지역에서 사는 청년, 대학생, 노동자, 결혼을 앞둔 청년 등 같은 청년이더라도 삶의 조건이 다른데 이들 모두의 요구를 수용하는 정치를 어떻게 청년 정치인들이 할 수 있단 말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청년의 정치를 지향하는 가장 큰 이유는 청년의 현실이 기성세대에 비해 어려운 것이며, 그 현실을 살아가고 있는 청년들을 대표하는 청년인 정치인이 정치의 현실에 뛰어들고 있다.
그러나 이 조차도 청년정치라는 말에 가두어 그 이미지에 국한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며 청년의제라고 불리는 몇 가지 사안들에만 주력하게끔 하는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여전히 청년 정치인을 꿈꾸는 청년에게 도전하라고 유혹하지만 청년 정치가 더욱 울창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외면하고 청년 의제는 청년 정치인의 몫이라며 도외시하고 있는 곳이 지금의 정치권이다.
단순히 생물학적 청년정치 만을 중요시하게 되는 현상이 지속되면 당사자성을 갖추지 못한 채 실제 청년 세대의 문제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은채 정치를 하고싶다는 목표의식만 확고한 기성정치인과 다를 바 없게 된다.
대한민국의 청년 세대 문제는 단순히 청년들만의 문제로 치부할 수 없다. 청년 정치의 가장 궁극적인 목적은 청년만을 위한 의제를 다루는 것 뿐 아니라 세대 간 문제를 극복하고 다양한 정체성을 반영하는 정책을 내고 그것이 반영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정치, 경제, 문화의 모든 면에 있어 50대 남성 중산층 기준으로 만들어져있는 제도에서 벗어나 여성, 청년, 장애인, 성소수자 등등 정치를 하고자 하는 누군가가 자연스럽게 정치에 참여하여 그 시대의 시대성을 반영하여 그들의 삶을 정책화할 수 있는 정치가 필자가 생각하는 진정한 청년 정치일 것이다.
/박혜령 전주시사회혁신센터 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