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5 13:07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세상만사
일반기사

[세상만사] 전국의 새만금, 전북의 새만금 - 최동성

최동성(본지 기획사업국장 겸 논설위원)

11월은 전북에 무엇으로 찾아오는가. 우선 새만금사업이 착공된지 만18년 되는 시점이다. 보통사람인 우리는 일상에 묻혀 살기 때문에 잊고 지내는 경우가 많지만, 어제는 '새만금의 날'이었다. 국민들의 관심을 높이고 성공적인 완공과 전북 제2의 도약을 선언한 의미를 담아 이날을 기념하고 있다.

 

그러나 며칠 전 발표된 새만금사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도는 매우 충격적이다. 전북도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해서 전국 성인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새만금사업을 국책사업으로 제대로 알고 있는 응답자는 불과 1.4%였다. 국민 대부분 새만금사업이 지역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잘못 바라보고 있다. 이게 사실이라면 '새만금사업=전북의 사업'으로 착각하고 있는 것이다.

 

새만금사업은 1991년11월 착공이후 2006년3월 대법원의 판결로 최종 물막이 공사가 이뤄지기까지 바람 잘 날이 없었다. 정부와 환경단체, 주민들은 찬반세력으로 갈라져 일이 꼬이고 극심한 대립의 갈등상황을 보였다. 그러다보니 새만금사업은 오랫동안 전국적인 이슈로 주목은 받았지만, 간척사업이나 환경파괴 등을 떠올리는 수준의 인식과 패러다임을 벗지 못했다.

 

그러면 새만금사업이 이처럼 지역사업으로 비쳐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먼저 정부의 기본적인 홍보플랜의 부재를 들 수 있다. 일관되고 지속적인, 그리고 총체적인 홍보활동을 볼 수 없다. 개발에 따른 경제효과를 강조하는 전략이 있었다고 하지만 사회적 공감을 얻는데 한계가 나타난다. 더군다나 이에 대한 전술도 임기응변적이고 흥미중심의 이벤트나 현실정치 참여 등을 통한 방식은 동떨어진 국민 마음을 챙길 수 없다. 물론 그것도 필요하다. 그러나 경제로만 매진한다고 사업이 잘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새만금사업이 정치적 흥정 대상으로 다뤄지면서 지역화를 심화시켰다고 본다. 사업계획 발표이후 이명박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새만금사업에 대한 지원을 약속하지 않은 대통령이 없었다. 민심 껴안기 차원의 정치적 의도가 매우 강력하게 작용한 이유 때문인지 새만금사업은 전북 표심을 사기 위한 선심성 사업으로 폄하되기도 했다. 대규모 국책사업을 벌이겠다고 선거 때마다 공약을 내세워 재미를 보았을지는 모르지만 그 과정에서 새만금사업은 지역적인 성격이 점차 짙어졌다.

 

이뿐 아니다. 전북도민들의 엄청난 찬성운동이 새만금사업을 지역사업으로 이미지를 부각시키는데 한 원인이 되었지 않았는가 생각한다. 오랜 낙후의 길을 끊어내겠다는 도민의 기대는 환경논란 속에서 도민을 개발론자로 바꿔 놓았다. 엄밀한 의미에서 새만금사업의 논란에서 전북의 찬성운동은 국책사업의 대리인 역할이었다. 갈등과정에서, 논란의 현장에서 도민들이 벼랑에서 떨어지는 사업을 힘겹게 지켜내는 양상이 전개됐다.

 

새만금사업은 이제 시작이다. 아직도 갈 길이 멀다. 둑만 쌓았다고 명품복합도시로 개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국책사업으로서 새만금사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행정홍보 전략을 어떻게 수립하고 구사하느냐에 달려 있다. 특히 갈등이슈의 정부 정책은 각 추진단계에서 이뤄지는 홍보가 성패를 가른다. 정책홍보는 그만큼 중요하다. 그런데도 정부는 새만금사업의 '호랑이'를 '고양이'로 그리고 있는 판이니 그저 딱할 뿐이다.

 

/최동성(본지 기획사업국장 겸 논설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