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13 01:13 (금)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전북광장
일반기사

완주군 '로컬푸드 모델' 아시아가 주목

생산자·소비자 신뢰 구축 안정적 판로망 확보 성공 지역공동체 경제 자립 촉진

▲ 임정엽 완주군수
전 세계에 걸쳐 사회적 경제, 협동조합 운동에 대한 모색이 활발하다. 자본이 주도하는 경쟁과 효율 지상주의가 빚은 전쟁과 기아, 비인간화, 불평등 및 소외, 양극화에 대한 집단적 자각과 새로운 질서에 대한 갈망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경제적·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사회를 어떻게 구현해 갈 것인가'는 점은 21세기 세계의 공통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때에 한겨레경제연구소가 중심이 되어 '세계의 번영과 지속가능성 사이의 균형 찾기'라는 주제 하에 제4회 아시아미래포럼이 30일부터 31일까지 이틀간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다. 미래포럼은 금융, 자원, 환경의 복합위기로 저성장이 '새로운 보편(new normal)'이 된 시대에 아시아를 포함해 지속가능한 지구촌을 만들기 위해 어떤 새로운 생각이 필요한지 논의하고 토론할 수 있는 장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주지하다시피, 지역 단위에서 가장 화급(火急)한 주제가 농업과 먹거리 문제다.

 

오늘날 각국이 겪고 있는 농업과 먹거리 위기는 글로벌화한 먹거리 생산 및 공급체계에서 비롯된다. 글로벌푸드 시스템은 그 속성상 소농 및 고령농 유지, 생산과 소비자의 사회적 관계, 종의 다양성 보전, 지구온난화 방지 등에 역행한다.

 

한국의 농업, 농촌상황은 그 어느 나라보다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심각한 위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12년 현재 식량자급률은 22.6%에 불과하다. 주식인 쌀을 제외하면 5% 이하다. 농가 평균소득은 도시민의 59% 수준이다. 연 소득이 500만원에도 채 미치지 못하는 농가수가 전체의 53.1%에 달한다. 고령화지수는 이미 33%를 넘어섰다.

 

정부는 개방에 대응한 소수의 경쟁력 있는 농가육성에만 초점을 맞춰왔지만, 그러는 사이 70%에 달하는 1ha 미만의 소농들은 설자리를 잃었다. 농촌 양극화는 심화되고 있다. 지역농업, 지역사회가 급속히 붕괴되면서 우리 농업·농촌의 미래는 어둡다.

 

반면 완주군은 이렇듯 위기에 내몰린 농업·농촌을 활성화시키고, 도시 소비자와 함께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의 생산 및 공급이란 지속가능한 발전모델을 만들고 있다. '농업농촌의 수도', '로컬푸드 1번지'로 자리잡았다. 이번 아시아미래포럼에서는 로컬푸드로 대변되는 완주군표(標) 협동경제 모델을 아시아 국가에 소개하고, 그 노력과 성공 노하우를 공유한다.

 

완주군 사례는 한국 농업·농촌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 5년간 벌인 치열한 노력에 대한 활동보고서다. 완주군이 선택한 열쇠는 '로컬푸드의 전면적인 실행'이다. 이 전략은 유통과 먹거리 선택권에서 철저히 소외된 농민과 시민을, 먹거리 생산과 소비의 주체로 재조직하는 과정이다.

 

완주군은 다품목 소량생산을 특징으로 하는 0.5ha 미만의 3000여 소농을 조직화했다.

 

농민가공을 촉진해 부가가치를 농민이 가지도록 지원시스템을 강화했다. 인근 65만명 전주시민의 생활거점에 로컬푸드 직매장을 개설했다. 현재 3개 매장에 1500여 소농이 참여하고 있고, 월 매출은 30억원 수준에 달한다. 로컬푸드를 통해 판로가 안정되면서 마을공동체 및 CB공동체의 경제적 자립이 촉진되는 등 지역순환경제와 농촌사회 활력증진 효과도 창출하고 있다.

 

완주군의 성공에는 농촌 생산자와 도시 소비자간 상호 니즈(needs)를 충족시키는 신뢰에 기초한 협동경제모델, 즉 커뮤니티비즈니스(CB)의 구체적 실행이 자리잡고 있다.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해 왜 한국의 조그만 산골에 사는 농민이 고통 받아야 하는가?'에 대한 해답은 멀리 있지 않다. 우리 스스로 만들어가는 지역단위 공동체 힘에 기초한 대안 먹거리 질서, 도농간의 지역순환경제에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