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01-08 02:11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화일반
일반기사

전북도, 경기전 하마비·남원 극락암 석조불좌상 등 5건 유형문화재 지정

▲ 전주 경기전 하마비.
전주 경기전 하마비(下馬碑)가 체계적인 보존·관리를 받게 된다.

 

전북도는 18일 도지정 유형문화재 제222호로 전주 경기전 하마비, 제223호로 남원 극락암 석조무량음성왕불좌상(極樂庵 石造無量音聲王佛坐像) 및 복장유물 일괄, 제224~226호로 이덕응·신기영·조병순 초상화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도는 이와 함께 장수군 장계면 삼봉리 가야고분군에 대해 학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해 기념물로 지정했다.

 

문화재로 지정된 유물은 가치 향상과 함께 관광자원 활용도 제고 등의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보수·정비의 지방비 지원과 향후 문화재 활용을 위한 국비 지원의 법적 근거도 마련했다.

 

하마비는 임진왜란 뒤 경기전이 중건되던 1614년(광해군 6)에 세워졌다.

 

비석에는 '지차개하마 잡인무득입(至此皆下馬 雜人毋得入)', 즉 계급·신분을 떠나 모두 말에서 내리고 잡인의 출입을 금한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여느 하마비와 달리 판석 위에 비를 올리고 그 판석을 두 마리의 사자(혹은 해태)가 등으로 받친 형태로 이뤄져 있다.

 

이는 하마(下馬)뿐 아니라 경기전을 지킨다는 의미를 담은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드문 형태로 조형적 가치와 함께 경기전의 위상을 상징한다는 게 도 관계자의 설명이다.

 

당초 도는 지난 2008년 문화재청에 하마비의 보물 지정을 신청했지만 미흡하다는 통보를 받았다.

 

일단 도지정 문화재로 선회한 뒤 문화재청에 재신청할 방침이다.

 

1702년 조선 숙종 28년에 제작된 극락암 석조무량음성왕불좌상 및 복장유물은 조선 후기 불상양식을 충실하게 반영한 작품으로 학술·예술적 가치가 높다는 평가다.

 

순천 대흥사에 봉안됐지만 20세기 초 극락암의 전신인 용학암으로 옮겨진 것으로 알려졌다.

 

조각승과 봉안지는 물론 무량음성왕불이라는 존상명까지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불상이다.

 

유형문화재 제224~226호는 1916년에 제작된 작품으로 고종의 어진을 그린 조선 말 최고의 초상화가인 석지 채용신의 필치가 담겼다.

 

이덕응(당시 51세) 초상화는 입상(금관조복) 1점과 좌상(유복, 평복) 2점 등 모두 3점이고, 이덕응의 제자인 신기영(당시 20세)과 조병순(당시 24세) 초상화는 입상 각 1점이 지정됐다.

 

지금까지 전해진 채용신의 초상화는 대부분 배경을 그리지 않았지만 세 명의 입상 초상화는 황단을 배경으로 제작돼 가치를 인정받았다.

 

기념물 제128호 장수 삼봉리 가야고분군은 가야 수장층의 묘역으로 직경 20~30m 내외의 대형고분 20여기가 분포돼 있다.

 

무덤내부에서 가야토기와 철제마구, 꺽쇠, 교구, 환두대도 등이 출토됐다.

 

봉토 내에 주곽과 부곽이 배치된 가야계 수혈식 석곽묘도 확인돼 도내에서 가야계 세력의 존재를 알 수는 고분군이다.

 

현재 도내에는 국보 8건·보물 88건·사적 34건·명승 6건·천연기념물 31건·중요무형문화재 9건·중요민속문화재 13건 등 국가지정문화재 189건과 도지정 유형문화재 206건·무형문화재 74건·기념물 110건·민속문화재 35건·문화재자료 154건 등 579건의 문화재 및 등록문화재 46건 등 모두 814건의 문화재가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