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당연하다는 듯이 ‘너는 나를 닮아 그림에 소질이 없나보다.’고 한다. 그 아이는 나중 미술시간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게 되나 반복적으로 돌아 오는 미술 시간에 뭔가를 그려야 하는데 자꾸 위축되기 마련이다. 나중에는 손바닥이나 도화지의 일부분으로 가리고 그림을 그린다. 거기다가 선생님이 아이의 자신감을 회복해준다고 옆에 가서 잘한다거나 무슨 충고를 하면 더 위축되어 미술시간이 생지옥 같아진다. 이런 아이들은 공동작업을 시켜서 자연스럽게 자신감을 회복시켜야 한다. 한 화면에 4~5명을 투입하고 문제의 아이는 상대적으로 쉬우나 넓은 면적을 하게 하여 공동으로 성취감을 느끼게 해야 한다.
‘우리 아이는 그림을 아주 잘 그려요. 색칠공부를 사다 주면 선 밖으로 절대 색상이 나가지 않게 칠하거든요.’ 울화를 유발시키는 뻔뻔함이다. 이건 사람을 순응화시키려는 식민 교육 사상이다. 자유롭게 그린 그림, 정확한 해설이 정답이다.
소풍을 다녀와서 소풍을 주제로 그리게 하는 것보다 소풍가기 전에 소풍을 가면 무엇을 할 것인가를 그리게 하는 것, 시장을 주제로 예고없이 그림을 그리게 하는 것보다는 미리 예고하고 시장에 들려보고 나서 그림을 그리게 하는 것은 또 어떤가? 서양에서 미술을 받아들이는 일본인들이 이를 기술이라 여겨 맨 먼저 공대에 미술과를 두었던 것까지 일제를 닮았다는 것이 서럽지 않은가?
프뢰벨(Friedrich Wilhelm August Frobel, 1782~1852)에 의하면 6세까지가 유아기이다. 이 시기의 아동들에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칭찬이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하는지는 잘 몰라도 우리의 아이들을 춤추게 한다. 그렇게 그리면 안 된다거나 살에는 살색을 칠해야 하고 몸에서 팔의 비례는 어떻다는 등의 발언을 해서는 절대 안된다. 그런 주문은 상상력을 배제하고 개념화만 만들뿐이다. 성인의 잣대로 아이들의 그림을 잴 수는 없다. 어린이들은 눈으로 보이는 것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마음 속으로 그림을 그리기 때문이다. 엄마를 보지도 않고 엄마를 그리다가 차츰 엄마를 바라보는 횟수가 늘어날 것이다. 유아일수록 마음속에 이미 그려진 모습을 그려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