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01-08 02:27 (수)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타향에서
일반기사

축제의 계절을 맞이하여

도내 시·군 축제들 저마다 개성 살려 관광객 더 유치를

▲ 진영곤 감사원 감사위원
4월과 5월은 전국 각지에서 갖가지 지역축제가 열린다. 봄꽃이 만발하고 따스한 햇살이 나들이 하기에 좋은 계절이기 때문에 이맘때 축제가 집중되는 것이리라. 그런데 문제는 대부분의 지역축제의 행사내용이 비슷비슷 하다는 것이다. 대동소이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축제가 여러 지역에서 한꺼번에 열리다 보니 외부 손님들을 끌어 들이는데 한계가 있다. 물론 모든 축제가 관광객을 염두에 둘 필요는 없다. 지역민들이 한데 모여 즐기면서 지역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동질성을 다지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예전 조상들이 봄·가을에 벌이는 마을 잔치들이 그러했을 것이다. 그러나 기왕이면 다홍치마라고 많은 외지 사람들이 찾아와서 보고 즐기면 지역경제에 훨씬 도움이 되지 않겠는가. 지역 축제에 적지 않은 예산이 소요 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서양의 축제를 보면 별별 희한한 프로그램들이 많다. 접시를 들고 달리거나 하이힐을 신고 달리기를 하기도 하고 어떤 곳은 도시 전체에 소를 풀어 놓고 사람들이 달아나는 놀이를 하기도 한다. 이런 축제들의 특징은 모든 사람들이 직접 참여해 즐길 수 있다는 점이다. 지방마다 독특한 개성을 살려 축제를 관광 상품화 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지역축제는 인기가수를 초청해 노래자랑 대회를 하거나 OO미인선발대회, 어설픈 문화 행렬 등 행사를 개최하고 참여자들은 구경꾼에 그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먹거리에 있어서도 빈대떡, 족발, 해물파전 등 거기서 거기다. 그 지역에서만 맛볼 수 있는 먹거리와 직접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이벤트를 제공해야 단순 관광객이 아닌 마니아층을 끌어 들일 수 있다.

 

브라질의 리우 카니발이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축제로 자리 잡게 된 것도 그곳에 가면 누구나 흥에 겨워 춤추고 즐길 수 있게 만들기 때문이다. 보령 머드축제가 외국인들로부터 사랑받는 이유도 뒹굴며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 가평의 자라섬에서 열리는 국제재즈페스티발도 외국인들과 젊은 층으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천혜의 자연경관과 어우러지는 여름밤의 재즈의 향연에 참석자의 95%가 다시 찾고 싶은 축제라고 반하는 것이다.

 

외국인들을 많이 유치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단지 방문객 수 때문이 아니다. 요즘 젊은 세대들의 라이프스타일이 국제화 되어 있어 외국인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어야 젊은 사람들도 끌어 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전통적인 사고로는 토마토 농사를 잘 지어서 농산물 시장에 내다 팔아야지 소중한 농산물을 가지고 서로 던지고 노는 것을 이해하기 힘들지만 지금은 토마토를 서로 던지고 온 몸이 토마토 범벅이 되는 놀이가 더 큰 부가가치를 가져다 줄 수 있다. 발상을 바꿔야 한다. 비슷한 생각을 가진 공무원의 머리에서 축제의 콘텐츠가 결정되면 젊은이들의 관심을 끌 수가 없다.

 

서울의 계동과 삼청동 지역에 걸쳐 있는 북촌이 외국인들에게 인기 관광지가 되고 있다. 전주 한옥마을도 관광객이 크게 늘고 있다는 소식이다. 북촌에는 올망졸망한 카페, 공방, 갤러리들이 자연발생적으로 모여들어 우리의 전통 한옥과 더불어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예술적인 안목이 있는 젊은 세대의 덕분이다. 전주 한옥마을도 공무원의 시각이 아닌 문화 예술인들이 저마다 개성을 살려 아기하게 꾸며 나가야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전통을 살려 나가면서 말이다. 전북의 각 시·군에서 개최하는 지역축제가 저마다 개성을 살려 연중 관광객이 끊이지 않는 관광전북의 견인차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