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스트 레지던시의 존재 목적과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일까? 지난 7년여간 지역에서 민간 레지던시를 운영하며 끊임없이 질문해 온 주제이다.
일반적으로 레지던시 운영의 기본 목적은 작가의 창작활동을 공간적, 경제적으로 지원하는 데 있다. 대부분의 작가 입장에서는 작업에 몰두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 작가 역량 강화 기회에 매력을 느껴 레지던시에 입주한다. 국내외의 레지던시 운영 현황을 보면, 각 단체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은 대동소이하다. 작가가 입주 후 공간에 머물며 작품주제를 연구하고, 일정 기간 동안 실행한 작품 연구 과정이나 그 결과를 전시하는 식이다.
갤러리나 미술관과 달리 레지던시가 지닌 가장 큰 특성은 바로 이 ‘작가의 머무름’에 있다. 작가는 실제 공간에 거주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고, 퍼블릭 프로그램을 통해 작가 스스로가 대중, 또는 사회에 융화되어 창작물을 알리는 소통의 기회를 갖는다. 이 때 레지던시 운영진의 시대를 읽는 감각과 태도, 작가와 협력관계, 각종 프로그램 기획력들이 해당 레지던시만의 특색을 만들어 간다. 즉 레지던시는 일정 가치관을 토대로 작가의 머무름을 매니징함과 동시에 지역 커뮤니티와 결합을 매개하고 하나의 공공성을 지닌 예술 프로그램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에보미디어레지던시의 운영 핵심 철학인 ‘공존(Coexistence)’ 역시 레지던시로서 지역사회에 공존하며 필요한 일을 지속해나가기를 제시하는 역할론적인 관점에 근거한다. 이는 곧 단발성 작가지원에 그치지 않고 레지던시 종료 이후에도 작가의 작품활동이 또 다른 전시나 프로젝트로 이어지고 작가의 생활이 유지될 수 있도록 돕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결과적으로 레지던시의 역할은 아이러니하게도 작가 중심적 사고에 갇히지 않을 때 더욱 확장된다. 작품 판매의 목적을 지닌 갤러리나, 공공성을 띤 미술관이 미처 하지 못하는 부분을 레지던시에서는 좀 더 유연하게 운용 가능하다. 기존 통념상의 레지던시 역할에 안주하지 않고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작가를 둘러싼 환경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기반을 마련해보는 시도를 해보는 것이다. 또 레지던시가 ‘연결자’를 자처하고 작가와 기획자, 큐레이터, 공간주, 단체 및 기업들과 연결해 작가가 전방위적인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형 아티스트 에이전시 기능까지도 포괄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내외부에 흩어져 각개전을 펼치고 있는 예술계 사람들을 한 데 모아 지역 기반의 문화예술 활동을 공유하고 상호 성장해나가는 상생의 구심점을 만든다.
현재까지도 여느 미술관이나 갤러리에서 하는 전시는 알아도 레지던시 활동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관심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그러나 레지던시가 대중과의 접점을 늘리는 데 주력하는 공간과는 다른 역할을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 의미는 결국 ‘작가에게 제공하는 경험의 밀도와 확장’에서 찾을 수 있다. 이는 대외적으로 보여지는 단편적인 공간 운영 지원에서 작가와 환경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관점의 변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작가가 보다 안정적으로 작품에 집중하도록 돕고, 오랜 시간 연구한 결과물을 효율적으로 프레젠테이션 할 수 있는 전시기획과 홍보전략을 고심하며 국내외의 다양한 네트워킹이 밀도 높게 이뤄질 수 있는 장을 마련하는 것, 더불어 입주 사후에도 작가의 경험이 확장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이 지역의 아티스트 레지던시의 역할, 존재 이유이다.
△김현정 대표는 에보미디어레지던시 대표, 고택아트페스타 총괄감독으로 활동을 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