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와 완주군의 행정구역 통합이 또 무산됐다. 지난 1997년과 2009년에 이어 세 번째 시도였으나 결국 이번에도 물거품이 됐다. 통합이 무산됨에 따라 전주시민과 완주군민들 사이에서는 희비가 교차했다. 전주시민과 완주군민들의 통합 무산에 대한 반응을 들어봤다.
■ "광역도시 절호 기회 놓쳐"
- '전주 시민들 '허탈·섭섭' 진정성 있게 재추진해야
전주·완주 통합이 무산되자 21년 만에 통합을 기대했던 전주시민들은 허탈감과 충격을 감추지 못했다. 그러면서도 지역간 화합과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시민 이강명씨(74)는 "통합이 됐더라면 전주와 완주가 함께 발전할 수 있었다"면서 "전주도 광역도시의 반열에 들어설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는데 통합이 무산돼 많이 아쉽다"고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또 다른 김근호씨(54·전주시 우아동)는 "민심을 읽지 못한 결과여서 안타까운 마음이 크다"면서 "지난 2009년의 통합 움직임과 달라진 점이 없었다는 것이 이번 전주·완주 통합 무산의 결정적인 원인이라고 생각한다"고 나름의 통합 무산 원인을 분석했다. 이어 그는 "밑에서부터 차근차근 통합의 수순을 밟아가지 않고 이번에도 위에서 시도하면 밑에서는 따라오라는 식이었다"고 꼬집었다.
이어 권순호씨(58·전주시 풍남동)는 "전주·완주 통합이 정치권의 이권문제로 완주군민들에게 비춰진 것 같다"며 "전체의 이익보다는 개인의 이익을 우선시한 일부 정치인들의 태도로 통합이 또 다시 무산됐다"고 개탄했다. 그는 이어 "언젠가는 전주와 완주가 하나 될 것이라 생각하지만 그 시기가 또 다시 늦춰져서 아쉽다"고 덧붙였다.
또 통합 재추진 분위기를 조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임모씨(45·전주시 효자동)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전주와 완주의 공동 협력사업을 발굴해 시행하고, 화합교류 행사 등 지속적이고 진정성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시민 김모씨(39·전주시 진북동)는 "통합이 안 돼 아쉽지만 추진 과정에서 불거진 지역과 주민 간의 불신과 앙금을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언젠가 통합이 재추진되겠지만 우선 이들의 갈등 해소가 우선인 것 같다"고 말했다.
■ "갈라진 민심 봉합 급하다"
- 완주 찬반측 모두 입모아 고소·고발 접고 화합해야
밤새 주민투표 상황을 지켜보며 밤잠을 설친 완주군민들은 피곤한 몸과 마음을 뒤로 하고 일상으로 되돌아가는 가운데 투표운동 과정에서 발생한 찬반 사이의 갈등과 대립, 이에 따른 후유증에 대한 우려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찬성측과 반대측 모두 "이제 군민들의 손으로 민의를 확정지었으니, 군민들의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방안을 서로 고민하자"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치유책에 대한 찬성와 반대측의 과정과 방법론은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통합 반대운동의 중심지인 '통합반대 범완주군민 대책위원회'는 정치인과 일반 군민을 나누어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정리하고 있다. 대책위는 "완주군민 모두는 완주라는 삶터에서 함께 살아가야 할 사람이다"고 전제하고 군민들을 끌어안는 포용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실천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대책위는 정치인만은 자신들의 행동에 책임을 져야 한다며 선을 그었다. 대책위는 "몇몇 정치인들은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군민들의 의사와 상관없이 통합 논의를 촉발했다"며 "이들 정치인들은 스스로 고민하고 판단해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통합에 대한 뜻이 꺾인 찬성측은 극도로 말을 아끼고 있지만, 군민 사이의 갈등만은 없애야 한다는 의사를 빠뜨리지 않고 있다. 찬성측 인사들은 "투표 운동 과정에서 발생한 고소·고발은 이제 모두 접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찬성과 반대로 갈렸던 사회단체들도 갈등 봉합을 위한 대책을 고민하고 있다. 일부 단체들은 회원들은 물론 일반 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역주민들의 화합을 유도하기 위한 적절한 프로그램을 논의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