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지는 남에게 빌어서 얻어먹고 사는 사람을 말한다. 거지의 어원은 무엇일까?
어떤 문헌에서는 ‘걷다’(거두어 드린다)의 ‘걷-’에 사람을 나타내는 접미사인 ‘-이’가 붙어 ‘걷이’가 되었는데, 이것이 구개음화(口蓋音化)되어 ‘거지’가 되었다고 했다. 이것은 우리말의 옛날 형태를 모르는 데에서 온 소치로 실소를 금할 수가 없다.
옛날 문헌을 보면 ‘거지’는 ‘거00지’로 되어 있다. 이것은 중국어 ‘걸자(乞-빌 걸, 子-아들 자)의 발음을 그렇게 써 놓은 것이다. ‘걸’에 접미사인 ‘자(子)’가 연결된 단어이다. ‘자(子)’는 중국어의 접미사인데, 우리말에 와서는 두 가지 음으로 읽혔다. 하나는 ‘자’이고 또 하나는 ‘지’다. ‘판자(板子)’는 ‘판자집’일 때에는 ‘판자’이지만, ‘널판지’일 때에는 ‘판지’로 읽는다. 주전자, 감자, 사자, 탁자 등의 ‘자(子)’는 ‘자’로 읽지만, 가지(식물의 하나), 간장 종지, 꿀단지 등의 ‘자(子)’는 ‘지’로 읽는다. 남자와 여자 생식기의 이름 끝에 ‘-지’가 붙은 것도 모두 이것 때문이다.
따라서 거지는 ‘걸지’에서 유래되었는데 ‘ㄹ’이 탈락하여 거지가 되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