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헌율 익산시장
지방을 떠나는 청년이 늘고 있다. 첨단 산업체나 대기업 등 보다 넓은 취업의 문을 두드리기 위한 발걸음이다.
일자리뿐만 아니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정주 여건과 결혼 후 교육까지 고려한 많은 요인이 청년의 지방 정착을 가로막는 걸림돌이다.
사망이 출생보다 많아 인구가 자연 감소하는 ‘인구 데드크로스’ 현상이 늘어나고 있는 지방의 청년 유출은 ‘설상가상(雪上加霜)’이다. 특히 지방이 첨단산업을 유치하고 대기업 유치를 통해 청년들을 붙잡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청년 문제는 좀 더 세밀히 관찰해 보아야 한다. 청년 지방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지만 숫자 너머 모습을 보자.
수도권으로 이전한 청년들도 있지만 가족 품이 그리워 돌아오거나 집값, 교통비, 낯선 환경 적응 비용을 수도권에서 충당하기보다는 지방에서 안정된 삶을 원해 돌아오는 청년들도 있다. 그리고 더 많은 청년들이 우리 곁에서 지역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한다.
이런 청년 유출을 막는 일이 모든 지방의 당면 과제다.
떠나는 청년을 붙잡기 위해 지역을 ‘청년이 머물고 싶은 도시’, ‘청년이 돌아오는 도시’로 만들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가 있다. 지역 주민들의 정주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내용이다. 지방에서의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지방 청년의 정착 의지가 높아지고,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정착 의지가 강해진다는 것이다.
지역 출신 청년들이 지역 내에서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들이 ‘삶’을 이어갈 수 있도록 ‘좋은 정주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데 시야를 넓히는 것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얘기다.
결국 지방은 정주 환경 조성을 기반으로 한 청년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일에 집중해야 한다.
청년 일자리, 청년 창업, 청년 주거, 청년 육아, 청년 여가, 청년 거리 등 과감한 청년 정책이 필요하다.
청년 주거를 해결하기 위해 집을 구입할 때 부채를 최소화 해주며 도시 생활비를 낮춰 대기업의 소득 격차를 해소하는 지원책도 필요하다. 또 청년이 창업하기 쉬운 여건을 조성하고 청년이 육아 걱정이 없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청년의 힘든 삶에 결이 생기지 않는 답을 구해야 한다.
청년 정착의 꿈은 행정의 과감한 혁신과 투자에서 시작된다.
안정적인 내 집 마련을 위해 도심 속 쾌적한 주거를 제공하고 생활 속의 힐링 도시로 집 앞 공원에서 반려동물과 산책할 수 있도록 정주 여건을 개선하는 것 또한 행정의 몫이다.
청년들의 생활권을 광역화할 수 있는 교통 체계를 갖추고 우리 동네 가게를 살리기 위해 선순환 지역경제구조를 튼튼히 해 청년 창업을 돕고 기업 유치를 통해 지역 기업에서 실력 발휘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청년 육아를 개인이 아닌 익산이 함께 책임지는 환경이 필요할 때다.
청년들이 지역에 애착을 가지고 익산을 믿고 돌아올 있는 청년친화도시를 우리는 시민과 하나가 되어 만들어야 한다.
추석 연휴가 시작되는 날인 9월 18일이 제2회 청년의 날이다.
청년에게 언제나 든든한 힘이 되어주는 익산시를 만들어야 할 때다.
청년이 떠나는 지방은 희망이 사라진다. 청년이 중년이 되고, 중년이 고령이 되는 모두가 편안한 익산을 꿈꾼다. /정헌율 익산시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