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식품 사막(food desert)화가 전국에서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와 열악한 교통여건, 지역소멸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로 인해 주민들은 영양 불균형에 노출돼 질병에 취약해지고 먹거리 기본권과 삶의 질이 위협받고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개발 전략과 연계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사회서비스 등 농촌문제 해결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수적이다.
식품 사막은 신선식품과 같은 필수적인 식료품을 근거리에서 쉽게 구할 수 없어 생기는 새로운 사회적 문제다. 1990년대 초 영국에서 도입된 용어로, 식료품점이 사라지면서 식품을 구매하기 어려운 지역을 뜻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20년 통계청 농림어업총조사에 따르면 전국 행정리 3만7563개 중 73.5%인 2만7609개에 식료품 소매점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전북이 83.6%로 가장 심하고 전남 83.3%, 세종 81.6%, 경북 78.9% 순이다. 또 전북은 정읍시 93.3%, 진안군 89.8%, 남원시 87.8% 등으로 높다.
식품 사막화를 막기 위해 전북자치도는 '내 집 앞 이동장터'를 시범 운영했다. 지난해 12월 초부터 약 한 달간 식품의약품안전처·BGF리테일 CU와 협업해 매주 목요일 식품 구매가 취약한 진안 상가막·평촌, 임실 학암·급동마을 등 4개 마을에서 이동장터를 꾸렸다. 또 농림축산식품부는 지역농협과 협업해 '가가호호 농촌 이동장터'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장 차량이 농촌을 방문해 생필품 구입을 지원하는 서비스다. 전북연구원 역시 지난해 9월 이슈 브리핑을 통해 식품사막화 지도 제작, 협동조합 식료품점 개설, 식료품 바구니 정책, 식품사막화 지수 등의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러한 대응방안은 실효성이 의문이다. 이동장터의 경우 특장차량 1대에 운전기사 등 4~5명이 필요하고 기름값·인건비 등 실비 약 200만원이 든다. 반면 마을 4곳에서 거둔 총 판매 수입은 85만원에 불과했다. 정부나 지자체가 보전해줘야 지속이 가능하다. 결국 식품 사막화는 인구 감소, 고령화, 열악한 대중교통 등 농촌문제와 맞닿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통 접근성, 디지털 격차, 의료, 돌봄 등 총체적 농촌지역 사회서비스로 풀어야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