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으로 이어진 동학농민혁명 애국·애족 정신
아시나요.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했다가 31운동 민족대표가 된 사람은 누구인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 31운동 100주년 기획특별전 31만세로 이어진 동학농민군의 함성을 진행하고 있다. 오는 4월 28일까지 정읍 동학농민혁명기념관.
31운동을 주도했던 민족대표들과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들과의 연관성, 동학농민혁명이 31운동에 미친 영향 등을 조명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전시는 1부 함성에서 만세로, 2부 혁명군에서 민족지도자로, 3부 보국에서 구국으로 등으로 구성됐다.
민족대표 33인중 1894년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했던 인물은 손병희, 박준승, 이종훈, 홍기조, 권병덕, 나용환, 나인협, 임예환, 홍병기 등 9인. 동학농민군이 일본군에 패하면서 그들의 애국애족 정신이 역사 속으로 사라져 간듯했지만 들불처럼 번져 31운동으로 이어졌다는 것을 가늠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번 기획전에는 동학농민혁명이 전국적으로 퍼지는 양상을 보여주는 <동학사>, <석남역사> 등과 민족대표 33인이 자주와 독립을 천명한 독립선언서 등이 번역문과 함께 펼쳐놨다. 또 민족대표 33인의 사진과 약력, 재판기록을 보여주는 <민족대표 33인전>, <삼일운동비사>도 선보인다. 31운동으로 인해 순국한 독립운동가를 확인할 수 있는 31운동시 피살자 명부도 공개한다.
특히 기록물 소개와 함께 동학농민군의 함성이 어떻게 전국적으로 퍼지게 됐는지, 전국 31운동은 어떻게 가능했는지, 동학농민혁명과 서대문감옥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민족대표 33인은 왜 모두 종교계 인물이었는지 등 팩트체크를 제시해 관심을 이끈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관계자는 이번 기획전을 통해 동학농민혁명과 31운동이 깊은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을 밝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동학농민군의 함성이 동학농민혁명군이 민족대표 33인으로, 보국의 정신이 구국의 정신으로 면면히 이어져 한국 민주주의와 민족운동의 뿌리가 됐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