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5:10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조상진 칼럼
오피니언

나는 어떻게 죽을 것인가

image
조상진 논설고문

장인께서 향년 92세로 지난주 세상을 뜨셨다. 평소 건강하셨는데 폐렴으로 병원 입원 3일만에 작고(作故)하신 것이다. 장례는 병원에 딸린 장례식장에서 치렀다. 처가에 아들이 없어 자연히 상주(喪主)는 내 몫이었다. 모든 절차는 급히 모인 친인척들과 장례식장에 소속된 장례지도사의 의견에 따르기로 했다. 하지만 내가 결정해야 할 것도 있었다. 우선 몇일 장으로 할 것인가 하는 게 문제였다. 금요일 밤 12시 직전에 돌아가셔서 삼일장은 좀 망설여졌다.

그러나 장례를 최대한 짧게 하기로 했다. 일요일 아침에 발인키로 한 것이다. 가능한 주변에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 부고(訃告)도 최소화하기로 했다. 휴일인데다 여름 휴가철이고 장맛비가 쏟아져 나부터도 부고를 받으면 짜증날 것 같았기 때문이다. 또 하나는 장지문제인데 다행히 장인께서 종중산에 당신이 들어갈 자리를 만들어 놓아 한시름 놓았다. 집에 영정 사진도 준비되어 있었다. 발인날은 비한테 들키지 않고 모든 일을 무사히 마쳤다.

5년 전 장모님은 병원 입원 이틀 후 심장 시술 중 돌아가셨다. 감기가 심해 병원에 갔는데 심장이 좋지 않다며 시술을 권해 입원한 것이다. 결국 의사의 말을 믿고 따랐는데 의료사고로 의심되는 심정지로 사망에 이르렀다. 너무 황당해 화가 치밀었고 나 때문에 돌아가신 것 같아 심적 고통이 꽤 오래갔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고 이번 장인상을 치르면서 찾아온 지인의 말은 큰 위로가 되었다. 두분 다 죽을 복을 타고 났다고. 후손들 고생 시키지 않으려고 일찍 가신 것이라고. 반드시 그럴까 하면서도 내심 고마웠다. 

이제 나는 친가와 처가 부모님 네분이 모두 안 계신다. 미안한 표현이지만 홀가분하다. 그런데 문제는 이제부터다. 다음은 내 차례가 아닌가. 땡감이고 익은감이고 어느 게 먼저 떨어질지 모르지만 나도 순번을 탄 것이다. 정말 어떻게 죽어야 하나? 아직은 건강해 활동이 자유로우나 팔다리가 내 마음 같지 않고 치매 등이 오면 어떻게 할 것인가. 흔히 태어나는 것도 죽는 것도 마음대로 못한다고 한다. 하지만 죽음에 대해서는 자기 결정권을 존중하는 게 시대적 흐름이다. 그러기 위해서 죽음도 준비가 필요하다. 미리 유언을 해두고 매장 또는 화장을 할 것인지, 선산 또는 추모관에 들어갈 것인지, 장기를 기증할 것인지 등 살아있는 동안 능동적으로 생각을 해둬야 한다. 지금 상황으로는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받다 고통없이 가는 게 최선이 아닐까 싶다. 나아가 우리나라는 아직 ‘조력존엄사법’이 국회의 문턱을 넘지 못했으나 안락사 또는 존엄사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일이다. 

한편 한국노인들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조사를 보면 흥미롭다. 2002년 조사(한나영 외)는 적절한 수명, 무병사, 자손이나 배우자보다 먼저 죽는 것, 자손들에게 폐 끼치지 않고 죽는 것, 가족들이 다 있는 앞에서 죽는 것, 자손들이 잘 사는 것을 보고 죽는 것, 수면사, 무통사 등 8가지를 꼽았다. 2013년 조사(이명숙·김윤정)는 주변 사람을 배려하는 죽음, 천수를 누리는 죽음, 내 집에서 맞이하는 죽음, 편안한 모습의 죽음, 준비된 죽음, 원하는 삶을 누리다 가는 죽음 등 6가지를 들었다. 그리고 2018년 조사(신향숙)는 준비된 죽음, 원하는 곳에서 맞이하는 죽음, 자연사 등이었다. 갈수록 죽음 준비와 장소를 강조하는 추세다. 

무소유를 설법한 법정스님은 ‘미리 쓰는 유서’에서 “죽음이 언제 어디서/ 내 이름을 부를지라도/ ‘네’하고 선뜻 털고/ 일어설 준비만은 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고 했다. 나도 ‘네’할 준비를 해야겠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상진 #나는 어떻게 죽은 것인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