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 만경강문명권 봉황문화권 정립 필요"
완주군의 만경강 문화권을 `봉황문화권`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는 제안이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문화의 원류와 계통찾기 작업에 몰두해온 송화섭 호남문화유산콘텐츠연구원장(전 중앙대 교수)은 지난 26일 삼례문화예술촌에서 열린 2023 전북민속예술인 대표자대회에서 ‘만경강문명권의 역사와 민속’ 주제의 특강을 통해 완주군내 만경강 유역에 봉황 관련 유물과 유적, 지명이 많은 점 등을 들어 `봉황문화권`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봉황은 동양문화권에서 용과 함께 권위와 위엄을 상징하는 동물로, 봉황의 출현은 태평성대를 의미했다. 현 대통령실의 휘장도 무궁화를 사이에 두고 두 마리의 봉황이 돌보는 형상이다. 송 원장에 따르면 고지도환경 전북 문화권을 줄포만, 동진만, 군산만 문화권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만경강은 신석기기시대 패총과 세형동검이 발달한 군산만문화권에 속한다. 즉 고군산도 도서지역과 해안에 살던 신석기인들이 청동기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만경강을 따라 내륙으로 진출, 수렵 어로에서 농경생활로 전환하면서 세형동검문화를 번창시켰다는 것이다. 만경강 수계권 하구인 이서면 일대에서 발굴된 청동기시대 첨단 하이테크인 세형동검 유물이 이를 뒷받침한다. 만경강 중류지역인 완주군 용진읍 상운리 분구묘 유적에서 발굴된 4-5세기경 용봉환두대도(龍鳳環頭大刀)는 이 지역에 강력한 정치집단이 존재했음을 보여줬다. 이 지배집단은 마한 54 소국 중 건마국(乾馬國)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백제에 통합된 이후 봉산현, 고산현으로 분화됐다. 송 원장은 유물 유적 말고도 완주군에 봉황 지명이 많은 점도 주목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고산현의 이름인 봉산(鳳山)을 비롯, 비봉면 봉동면, 봉실산, 봉비산, 서봉리, 봉강리, 봉림리, 봉상리, 봉암리,봉중리,무봉 등 봉황 지명이 즐비하다. 관내 후백제 시대 봉림사, 봉서사, 위봉사 등의 사찰과, 고산현내 봉서정도 있다. 민속적으로도 완주 삼례-봉동 평야지대에서 농민들이 마을 단위로 농신제를 지내고 용신기(龍神旗)를 들고 술멕이 합굿, 들소리, 들놀이가 성행, 봉황문화와 함께 용문화를 완주의 상징적 문화로 승화시킬 수 있다는 게 송 원장의 주장이다. 한편, 이날 전라북도 민속예술인대표자대회에서는 전북 14시군 60여명의 민속예술인들이 참석한 가운데 전라북도 민속예술진흥회 연합회 총회와 만경강 문화생태 현장답사를 가졌다. 대회에서는 민속예술진흥에 공로가 큰 이병도 전북도의회 의원과 순창 금과들소리단 김봉호 회장에게 감사패가 전달됐고, 김익두 전북대 명예교수가 ‘무형문화재 발굴 및 지정 특별위원장’에, 조진국 한국교원대 교수가 ‘민속예술연행 특별위원장’에 각 위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