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난고’, 고창군으로 돌아온다
조선 후기 실학자 이재 황윤석(1729~1791)이 평생에 걸쳐 보고 들은 모든 지식을 기록한 백과전서 이재난고 일부가 황윤석의 고향인 고창군으로 돌아온다.
26일 고창군에 따르면 이재 황윤석의 8대 종손인 황병무씨가 이재난고와 이재유고 목판 100점을 최근 고창군에 기탁기증했다. 이에 군은 감사와 그 의미를 널리 알리기 위해 오는 30일 기탁기증 행사를 연다.
이재난고는 대실학자 이재 황윤석이 열 살 때부터 세상을 뜨기 이틀 전까지 53년 동안 온갖 다양한 정보들을 상세히 기록한 일기다.
전북도 유형문화재 제111호인 이재난고는 50여 책, 6000장 정도의 내용으로 현존하는 조선시대 일기류 중 최대최다의 방대한 저작물이며, 책마다 쓰기 시작한 연대와 끝낸 연대를 기록하고 난고(亂藁) 또는 이재난고라는 표제를 달았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이재난고는 애초 60책으로 이루어졌으며 거기에 이재의 수고본 2책을 더해 62책인데, 이 가운데 47책의 일기를 1994년부터 2003년까지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활자화해 이재난고 9책으로 발간해 오늘날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이 일기만도 400만 자에 달하는 방대한 양인데, 62책 전체는 약 530만 자 정도일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이재난고는 단순한 일기가 아니라 황윤석이 보고 배우며 생각한 모든 것을 매일 기록하고 그의 연구 결과까지 정리하면서 조선 후기 과학자의 연구 노트라고도 할 수 있다. 그는 정치, 경제, 과학, 역사, 사회, 문화, 언어 등 전 부분에 관심을 가지고 철저히 연구하고 대안을 제시해 모두 이재난고에 담았다.
이재난고에는 양반 지식인이 살아온 궤적이 매우 상세하게 담겨 있다. 심지어 당시 쌀값이나 국밥이며 고기 따위의 물가 변동까지도 파악할 수 있을 정도다. 그는 여행하면서 마을 이름을 한자와 한글로 나란히 적어 놓았고, 식물, 광물, 기물 따위도 한자와 한글을 나란히 적어 뒀다.
그는 과학에 대한 관심으로 자명종을 개발하려고 시도했고, 조선후기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개발되는 많은 자명종을 소개하고 그 원리를 분석한 글을 남겨 놓았다.
또 강원도 춘천에 있던 선대 묘소를 이장할 때 이를 발굴보고서로 기록하고 고려 시대 묘제에 대한 분석까지 곁들였으니 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발굴보고서라 할 수 있다.
이에 더해 고창과 인근에 대한 정보는 대단히 많은데 난고에는 당시의 생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내용이 많다. 대표적인 사례로 당시 고창(흥덕)에서 서울까지 6박 7일 정도로 다녔던 노정(路程: 580리)과 여행일지, 경승지나 유적지 등을 돌아본 내용도 있다.
또 충청도 진천과 경상도 상주에서 호랑이로 인한 피해 상황과 호랑이 사냥 관련 현상금(큰놈 100냥, 중간놈 50냥, 작은놈 30냥)을 통해 하루 사이에 20여 마리를 잡았다는 내용과 1768년(영조 44) 7월에 과거시험을 본 날 점심으로 일행과 냉면을 시켜 먹은 내용, 주막 국밥값 3전, 고급 누비솜옷 4냥, 평민의 누비솜옷 2냥, 말 한 마리 40냥과 말을 대여할 경우 100리마다 1냥 7전, 전의현감 월급 15냥 등이 기록되어 있는 등 당시의 물가와 사회문제 등 조선후기 생활문화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담고 있어 조선시대 타임캡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재난고는 조선 후기의 정치, 경제, 사회에서부터 수학, 과학, 천문, 지리, 어학, 역법 및 신문물인 서양과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식을 백과전서(百科全書)처럼 망라하여 다른 일기와 차이가 크며 그 가치가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다.
고창군은 향후 이재난고의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 승격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립중앙과학관)의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로 등록 등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