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일보 신춘문예 작가들이 추천하는 이 책] 정숙인 소설가 - 박병윤 채록시집 ‘홍시 먹고 뱉은 말이 시詩가 되다’
하늘의 별이 그대로 쏟아지는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대아리, 사봉리, 수만리, 신월리, 만경강 발원 샘으로부터 시작된 시인의 마을에는 누가 살까? 다섯 살부터 백 세까지, 어머니는 눈물이 죽죽 흘러 자운영꽃을 적시고, 곶감 박사는 야생 고욤나무에 접을 붙여 고종시를 만들고, 밤티마을 다섯 살 채언이는 강아지 미오와 딸기와 놀고. 반딧불이가 마당을 밝혀주면 시인의 이름을 낱낱이 호명하며 고향을 가슴에 담는다.
강영옥, 구만옥, 국승구, 국중하, 권구연, 길영숙, 김금석, 김기화, 김명옥, 김미애, 김영두, 김영미, 김용만, 김정환, 김종환, 故 김진갑, 김초엽, 김형순, 김호성, 나동현, 박나윤, 박문수, 박영환, 박인현, 박종린, 박지현, 박채언, 방순임, 배창렬, 배학기, 백남인, 백성례, 설유정, 송남희, 송은영, 수만댁, 심옥수, 오경표, 오영만, 오정현, 유경태, 유승정, 유재룡, 이강현, 이계옥, 이귀례, 이기성, 이기순, 이노성, 이덕범, 이보영, 이승철, 이인구, 이형순, 인정식, 장영선, 전영안, 정영천, 정정순, 조인식, 조인철, 최경자, 최귀호, 황에스더, 경로당 분들.
노인 한 분이 돌아가시면 마을 하나가 사라진다고 한다. 노인의 토막말은, 8대 오지奧地였다는 동상면 산골이 일제 강점기를 지나고 한국전쟁을 지나 코로나19 세계적 대유행 팬데믹을 거치는 동안 자신의 이름을 내걸지 않는 동상면 시인 면장에 의해 구술시로 태어난다. 동상면 주민의 삶은 그들의 것이고, 그들의 언어는 구술채록 시인에 의해 시가 되었다. 과거와 미래가 겹쳐진 현재의 기억을 수평적으로 흐르게 두고, 안전한 회상의 방법을 통해 한 개인의 삶이 생애사적으로 기록되고 저장되는 것이다. 1부 홍시 먹고 뱉은 말이 시詩가 되다
2부 호랭이 물어가네
3부 다시 호미를 들다
4부 문필봉에 뜬 달
5부 고향에 그린 수채화
6부 마을이 시詩시柿로 물들다 이렇게 6부로 이뤄진 드라마는 어떤 고향, 어느 마을, 누구의 이야기가 된다. 동상면의 다섯 손가락의 보물은 시의 모티브가 되고, 다시 동상골 삶터는 그림으로 재현된다.
동상 최고령 어르신의 삶터와 감칼/ 동상주조장과 막걸리 술항아리/ 시골살이 젊은 가족 꿈나무체험관찰학습장 이야기/ 장군봉이 지켜온 고종시 감나무/ 시인의 방이 된 어머니의 손때 묻은 옛 물건들 (동상골 삶터를 그리다, 부분)
감 깎기가 한창일 때 동상면 사람들은 동상이몽同床異夢이 아니라 東上二夢, 동상 100년 역사 찾기와 동상주민 예술가 만들기, 동상면의 두 가지 꿈을 꾼다.
완주군은 비매품인 이 시집을 동상면의 동상이몽 시인의 마을공동체 육성 프로그램 교육과 홍보 자료로 활용하고, 독자들을 위해 곧 전국 서점에서 판매할 계획이다.
윤흥길 소설가의 서평처럼 깊은 산골 작은 고장 동상면에서 왜배기 대짜 물건이 돌출했다. 별다른 존재감 없이 살아온 촌로와 촌부들 중심으로 갑자기 시인집단이 출현한 것이다. 손수 글로 옮기지 못해 구술 형식을 빌릴 수밖에 없었던 그 무명 시인들의 가슴 속 통나무 안에 당초 누가 그토록 영롱한 시심을 심어놓았는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