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로창’ 10년이 남긴 선물
㈔문화연구창의 ‘미술로창 잡담클럽’은 매주 수요일마다 미술관을 찾아 그림 보고 점심 먹고 수다 떠는 모임이다. 2014년 2월 26일 첫 모임을 한 미술로창은 2024년 2월 28일 531회를 끝으로 10년의 여정을 마쳤다. 531주의 수요일마다 단 한 번도 빠짐 없이 미술관을 찾은 것이다. 미술로창의 진행 과정은 항상 같았다. 매주 월요일 그 주에 찾아갈 전시장을 SNS로 알린다. 수요일 정오에 만나서 그림을 보고, 작가와 만나거나 참가자들끼리 이야기를 나누고, 갹출해 점심을 먹고, 헤어진다. 참가자는 대중없고, 서로에게 관여하지 않는다. 오면 좋고, 안 와도 그만. 왜 빨리 안 오냐고, 왜 안 왔냐고 묻지 않는다. 사실 처음부터 몇 회를 하겠다거나 몇 명을 모으겠다는 계획이나 기대도 없었다. 그저 설·추석·크리스마스 등과 날짜가 겹쳐도 꿋꿋하게 전시장을 가자는 다짐뿐이었다. 10년 동안 회당 평균 참가자는 5∼9명. 적을 때는 2∼3명, 많을 때는 30명에 이르기도 했다. 초기에는 각 영역의 예술인과 문화시설·단체 근무자가 주를 이뤘다가 학생, 종교인, 교사, 주부, 퇴직자, 자영업자, 직장인들로 연령과 직업이 다양해졌다. 매주 전시를 고르고, 작가를 섭외하고, 기록을 남기며 미술로창을 이끈 사람은 한국화를 전공한 고형숙 화가다. “미술관에 가고 싶지만, 낯설고 어려워하는 이들에게 친구가 돼주고 싶었다. 작품에 대한 이해보다 화가와 작품을 가깝게 느끼기만을 바랐다.”라는 그의 소망처럼 모임이 계속되면서 미술관은 편하고 익숙한 공간이 되어갔고, 화가와도 스스럼없이 말을 나누는 사람이 늘었다. 참가자들끼리 마음을 맞춰 전주시·완주군을 벗어나 군산시·남원시·담양군·서울시·순창군 등으로 꽃놀이를 겸한 미술기행을 떠났고, 화가들의 작업실을 찾아가 작품에 관한 상세한 이야기를 나눴다. 비문과 오기, 현학적 수사가 지나치게 많은 전시 소개 글을 원망하다가 문화시설과 연계해 글쓰기 강좌인 ‘문화예술인을 위한 문장강화’를 열기도 했다. 고형숙 화가는 마지막 모임에서 “많은 분을 만나 나이와 직업과 상관없이 그림과 삶의 소소한 이야기를 나누며 친구가 된 시간이었다. 그동안 재밌게 잘 놀았다.”라면서 해산을 알렸다. 그의 말처럼 미술관을 향한 걸음은 때론 해찰하며 느슨하게 때론 유쾌하고 발랄한 나들이가 돼야 한다. <2023 문예연감>에는 2022년 1,612건의 전라북도 문화 활동 중 시각예술이 697건으로 43.2%였다. 경북(621건), 전남(417건), 강원(404건), 충북(401건), 충남(351건), 제주(316건) 등과 비교하면 적지 않은 숫자다. 그러나 문화체육관광부의 ‘2023년 국민 문화예술활동조사’에 따르면 문화예술행사 관람률은 영화 52.4%, 대중음악·연예 11%, 미술 7.3%, 뮤지컬 5.5%, 연극 5.4%, 전통예술 2.4%, 문학 행사 1.9%, 서양음악 1.9%, 무용 0.55% 순이며, 미술 분야는 2019년 13.5%, 2020년 8.7%, 2021년 5%, 2022년 6.7%로 코로나19의 회복세가 더디다. 미술로창과 같은 활동이 지속돼야 할 명확한 이유다. 미술로창은 끝났다. 하지만, 미술로창이 10년 동안 다져 놓은 길은 수천수만의 갈래로 이어질 것이다. 누구든 가까운 사람들과 숱한 미술로창을 만들어 예술작품 감상이 일상다반사가 되기를 희망한다. “생활 속 미술로, 헤쳐모여!” /최기우 극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