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 중 최근 들어 고시 출신과 중앙 부처 경력자가 점차 늘고 있다. 이런 추세는 불과 몇 년 새 두드러지며, 갈수록 선거 판도에 결정적 변수로 작용한다. 무엇보다 단체장의 역량 가운데 국가예산 확보에 따른 사업 추진력을 첫 손에 꼽아왔기 때문이다. 자신이 공약한 지역 발전의 청사진도 결국은 예산 뒷받침 여부가 관건이다. 이 때문에 주민들도 과거 지연과 학연, 혈연 등에 얽매였던 고정관념에서 탈피해 후보의 경쟁력과 중앙무대 인맥 등에 주목하고 있다. 소멸 위기에 직면한 지역의 안타까운 현실을 감안하면 이같은 경향은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
전북에서도 이런 흐름에 힘입어 전문 관료 출신 다수가 지방 선거에 나설 채비를 하고 있다. 가장 움직임이 활발한 곳이 도청의 행정, 정무 부지사 출신이다. 그중에서 이달말 퇴직 예정인 최정호 전북개발공사 사장도 정무부지사 출신으로 익산시장 출마를 노리고 있다. 김종훈 경제부지사도 지난 총선 때 출마 제의를 뿌리치다 최근 전주시장 도전에 뜻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그와 함께 김관영 도정의 쌍두마차로 주목 받았던 임상규 전 행정부지사도 완주군수 출마 의사를 내비쳤다. 이 외에도 한두 명이 정국 추이를 지켜보며 출마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다. 현역 단체장인 우범기 전주시장과 정헌율 익산시장, 심덕섭 고창군수도 같은 부지사 출신이라 이들의 존재감은 더욱 빛을 발한다.
사실 세상의 변화 속도에 비하면 정치권의 체질 개선은 낙제점 수준이다. 사회 각 분야는 물론 우리 일상도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는데 유독 아날로그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게 정치 분야다. 과거 기득권에만 집착하며 새로운 변화 물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현실과 괴리된 그들만의 리그는 세대 교체를 가로막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변화를 압박하는 여론에 떠밀려 마지못해 개혁 시늉을 내지만 결국은 유권자 심판이 두려운 것이다. 그들의 눈높이에 맞추려면 후보의 전문성과 도덕성, 위기 관리 능력 등을 가점 요인으로 채택할 수밖에 없다.
대개 고시 합격 후 중앙 부처에서 20년 이상 근무하다 보면 나름대로 정무 감각이 쌓이게 된다. 자치단체 입장에선 정부 기관과의 인적 네크워크가 아쉬운 상황에서 그들의 인맥에 의존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럼에도 이들의 선거 출마와 관련해 속사정을 들여다 보면 여건이 생각보다 녹록지가 않다. 고향을 떠난 지 오래돼 지역 인맥을 쌓지 못한 데다 정당 활동 기간도 짧아 어려움을 겪어 왔다. 다행히 시대 요구에 따라 정치권의 인식 변화가 힘을 받는 상황에서 전문가 그룹을 선호하는 추세는 갈수록 더해가고 있다. 민심을 거스리면 역풍을 맞는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정당이 뼈저리게 인식하고 있는 터라 기득권의 선거 시스템으론 오래 버티지 못할 것이다. 김영곤 논설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